[사설] 미국發 R의 공포, 경쟁력 제고와 시장 다변화로 활로 찾아야

미국발(發) 경기 침체 공포의 직격탄에 글로벌 증시가 일제히 폭락하는 ‘검은 금요일’을 연출했다. 2일 한국 코스피지수는 3.65% 급락해 2700선이 붕괴됐다. 일본 닛케이225와 대만 자취엔지수는 각각 5.81%, 4.43%나 곤두박질쳤다. 코스피와 일본 지수의 하락률은 각각 3년 11개월, 36년 10개월 만의 최대였다. 독일 DAX도 2.33% 추락했다. 미국의 7월 구매관리자지수(PMI)가 경기 위축을 가리키는 46.8로 나오자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9월 금리 인하 예고까지 경기 침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면서 투자 심리가 급랭한 것이다. 빅테크들의 실적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서 ‘인공지능(AI) 거품론’도 가세했다.


아시아 증시 마감 후 발표된 미국의 고용시장 지표 부진은 이 같은 우려를 증폭시키고 있다. 미국의 7월 실업률은 4.3%로 전월 대비 0.2%포인트 높아져 2021년 10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7월 비농업 일자리 증가 규모는 11만 4000명으로 12개월 평균 증가 폭의 반 토막 수준으로 줄었다. 기축통화국인 미국 경제가 흔들리면 세계 경제의 타격이 불가피해진다. 미국 대선의 불확실성, 중동 확전 위기 등 지정학적 리스크도 불안을 더 키우고 있다. 한국 경제는 2분기 0.2% 역성장에도 하반기 수출 회복으로 2.5% 성장을 낙관해왔지만 안심할 수 없게 됐다.


더 큰 먹구름이 몰려오기 전에 우리의 주요 수출 지역을 미국·중국 중심에서 동남아·인도·중동·유럽 등으로 다변화하는 노력을 서둘러야 한다. 수출 품목도 반도체·자동차 중심에서 원전·방위산업·바이오·로봇 등으로 넓혀가야 한다. 민관정이 하나가 돼 ‘세상에 없는 기술’을 개발하고 우수한 인재를 육성할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불황기에는 오직 경쟁력을 갖춘 기업만이 살아남는다. 여야 정치권은 탄핵·특검 등을 둘러싼 무한 정쟁에서 벗어나 글로벌 스탠더드에 맞게 세제를 개혁하는 등 경제 살리기 입법에 적극 나서야 한다. 또 증시 부진 가속화를 막으려면 금융투자소득세의 폐지나 유예 조치에 대해 미리 결론을 내려 예측 가능한 시장을 만들어줘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