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사회와 꾸린 대책위만 104개…연대를 묻는 ‘민주노총’

2015년부터 2023년까지 활동 보니
사망 산재 때 진상 파악·유족 ‘구심점’
올핸 아리셀 참사 이후 대책위 꾸려
정치적 목소리 과도하다는 우려도
민주노총 위원장 “노동자 중요 의제’

지난달 23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지방고용노동청 앞에서 민주노총 아리셀참사대책위와 아리셀산재피해가족협의회 주최로 열린 기자회견에서 참가자들이 아리셀 교섭 회피 규탄 및 정부 대책을 촉구하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6월 경기 화성에 있는 일차전지 제조업체 아리셀 화재사고로 가족을 잃은 유족이 7일 서울 중구에 있는 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을 찾았다. 이들은 민주노총 중앙집행위원회를 만나 “연대해줘서 고맙다, 앞으로도 연대를 부탁한다”고 말했다. 민주노총이 참여한 아리셀 중대재해 참사 대책위원회는 화성시청, 경기도청, 경기남부경찰청, 서울지방고용노동청 등 매일 사고 책임 기관들을 찾아 이번 사고에 대한 한 진상규명과 재발방지 대책을 촉구하고 있다. 거리에서 집회와 추모제를 열고 시민들의 동참도 호소한다. 대책위는 이 상황을 소식지로 일반에 알리고 있다.


민주노총이 시민사회와 연대를 이어가고 있다. 경영계에서는 민주노총을 두고 연례 총파업을 통해 노조 기득권을 강화하고 과도하게 정치적 목소리를 낸다고 비판한다. 하지만 아리셀 화재사고 유족처럼 함께 목소리를 내야 할 상황에서는 구심점 역할도 맡는다.


8일 민주노총에 따르면 2015년부터 2023년까지 시민사회와 꾸린 대책위는 104개다. ‘네트워크’를 명칭으로 쓴 다른 연대체까지 포함하면 대책위 수는 더 늘어난다. 대책위와 연대체는 민주노총과 노조 지형을 양분하는 한국노동조합총연맹을 비롯해 두 노총의 산하노조, 시민사회단체, 여성단체, 종교단체 등 다양한 단체들이 참여했다.


104개 대책위 성격을 보면 대부분 노동 문제를 다룬다. 사망산재사고 피해 유족을 지원하고 사측으로부터 부당해고를 당하거나 비정규직 보호를 위한 대책위들이다.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이나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2~3조(일명 노란봉투법)처럼 입법 활동을 위한 대책위도 상당수다. 2020년 10월 결성된 이주노동자평등연대는 우리 사회에서 소외된 이주노동자의 인권을 보호한다는 점에서 평가된다. 2015년 네팔지진참사 한국연대위원회처럼 국내뿐만 아니라 국제 사회에서 일어난 참사 문제를 환기하는 대책위도 눈에 띈다.


다만 경영계의 우려대로 민주노총이 정치적 목소리를 내고 있는 점도 대책위 면면에서 드러난다. 2016년에는 박근혜 정권 퇴진 비상국민행동에 참여했다. 현 정부에서도 정권퇴진운동본부를 꾸렸다.


민주노총은 정치적 목소리와 노조 활동이 분리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은 작년 2월 8일 신년 기자간담회에서 “민주노총이 정치적 문제에 관심을 갖는 것은 이유가 있다”라며 “정치 문제 개입은 노동자와 서민의 삶을 바꾸는 중요한 의제다”라고 말했다.


다만 민주노총이 국민적 공감을 얻는지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는 지적에 대해서도 동의했다. 양 위원장은 “민주노총은 국민 시선 변화에 민감하게 대응해야 하는데 스스로 변화가 더뎠다”며 “국민에게 편안하고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투쟁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