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유공자 훈장 7200개, 주인 못 찾은채 창고 속에

본인·후손 소재파악 안돼
관련 예산도 올 1.4억 그쳐

우원식(셋째 줄 왼쪽 세 번째) 국회의장이 15일 오후 국회 사랑재에서 열린 제79주년 광복절 기념 독립운동가 후손 초청 오찬에 앞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해마다 수십 명의 신규 독립유공자가 발굴되지만 유공자 본인 및 후손들의 소재 파악이 안 돼 전달되지 못한 훈장이 7200개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미전수 훈장을 주인의 품에 안기기 위한 적극적인 현장 조사와 함께 관련 예산을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15일 국가보훈부 공훈전자사료관 자료에 따르면 현재까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의 공을 인정받아 서훈 대상이 된 자는 1만 8018명이다. 이 중 7200명은 소재가 파악되지 않아 훈장을 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7200명 중 대한민국 지역 내 본적을 가진 독립유공자는 총 2642명이며 나머지는 북한 지역, 중국, 러시아, 미국 등에 본적을 두고 있다.


독립운동가들이 세계 각지에서 활동하고 귀국하지 못한 경우도 상당수인 만큼 본적만으로 소재를 파악하기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다만 그들의 후손들을 찾는 실마리가 될 수 있다. 해당 지역에 대한 현장 조사가 절실한 이유다.


김재기 전남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서훈 대상자로 선정이 됐으면 당연히 훈장이 그들의 손에 들어가야 한다”면서 “멕시코·쿠바·중국·하와이 등 우리 독립운동가들이 활동했던 나라의 지역 전문가들과 연계해 후손 찾기에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공훈전자사료관 ‘독립운동가 후손찾기’ 페이지. 공훈전자사료관 홈페이지 캡처

문제는 정부가 서훈 미전수 독립유공자나 그들의 후손을 찾기 위한 노력에 적극적이지 않다는 점이다. 매년 광복절을 맞이하면서 정부와 정치권에서는 보훈 문화 확산과 유공자에 대한 예우를 내세우고 있지만 실상 관련 예산은 터무니없이 적다.


올해 국가보훈부 예산안을 확인한 결과 ‘독립유공자 후손 찾기 및 확인위원회 운영’ 항목에 책정된 예산 규모는 1억 4300만 원에 불과했다. 이마저도 일부 사업이 이관되면서 지난해에 비해 500만 원 줄어든 상태다.


세부적으로 후손확인위원회 운영 등에 2980만 원, 공훈 선양 및 후손 찾기 홍보에 6500만 원, 후손 유전자 분석에 2383만 8000원 등이었다. 또 영주 귀국 독립유공자 후손 해외 현지 조사(러시아· 중국) 항목에 1400만 원이 반영됐는데 각각 2명의 위원이 1회 조사를 다녀올 수 있는 수준에 불과했다. 임영언 재외한인학회장은 “정부마다 대통령 연설 같은 것을 들어보면 보훈 부분에 관심은 많은 것 같은데 이를 집행할 예산이 없으면 무엇을 할 수 있겠나”라면서 “연구도 하고 자료를 모으고 또 현지 조사도 나가서 유공자 후손들을 찾기 위해서는 예산 규모를 늘릴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