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채권 투자도 원금 손실 가능…환율 손실 등도 유의해야”

개인 장외채권 순매수 올해 26.4조


미국 금리 인하 기대 등으로 채권에 투자하는 개인 투자자들이 증가하면서 금융감독원이 경고에 나섰다. 채권이 확정 이자를 지급한다고 생각해 안정적인 투자처로 생각할 수 있으나 발행자 신용이나 금리 변동, 채권 만기 등에 따라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18일 금감원은 ‘금리 변동기 채권 투자 관련 유의사항 안내’를 통해 채권도 원금 손실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개인의 장외채권 순매수 규모는 올해 1~7월 26조 4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12월 이후 매달 3조 원 이상 투자가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채권은 투자자가 정부나 회사 등에게 자금을 빌려주면서 받은 증권으로 부도나 파산 등이 발생하면 원금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신용위험이 없더라도 채권을 만기까지 보유하면 확정 이자와 원금 회수가 가능하다. 다만 만기 이전에 채권을 매도하면 시장금리 수준에 따라 변동된 채권가격을 돌려받으면서 투자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만기 보유 목적이 아닌 중도 매매를 통한 매매차익 실현 목적으로 채권에 투자하는 경우엔 시장금리에 따른 채권가격 변동을 유의해야 한다. 시장금리가 오르면 채권가격이 하락해 중도매매 시 손실을 볼 수 있는데 장기채일수록 가격 변동 폭이 커질 수 있다. 시장금리 하락이 예상돼도 금리 변동이 예상보다 천천히 진행되면 투자자금이 계획보다 장기간 묶일 수 있다.


금감원은 시장금리 하락이 예상될 때 장기채에 대한 선호가 높아지지만 채권가격 변동 폭이 크다는 것도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장기채는 일반적으로 단기채 대비 금리 수준이 높고, 매매차익 측면에서도 금리변동에 따른 채권가격 변화가 크기 때문에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다만 기대수익률이 높다는 건 그만큼 리스크가 크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장기채 투자시 채권가격은 시장금리 변화에 보다 민감하게 변동하고 본인 전망과 시장금리가 다른 방향으로 변화할 경우 손실 발생 정도가 커진다”고 했다.


한국보다 금리 수준이 높은 미국 국채의 투자도 주의할 필요가 있다. 특히 미국 국채를 비롯한 해외채권에 투자할 땐 환율 변동과 해외채권 발행국가의 경제상황 등을 추가로 고려해야 한다. 해외채권을 만기까지 보유하면서 확정 이자를 받는다고 하더라도 환율 변동으로 원화 기준 수익은 확정적이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국내 투자자들이 적극 투자하는 미국 장기국채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상장지수펀드(ETF)도 유의할 필요가 있다. 최근 1년 만기 20년 이상 미국 국채 ETF 순매수금액은 3억 7000만 달러, 3배 레버리지 ETF 순매수금액은 4억 1000만 달러 등으로 집계됐다. ETF는 주식처럼 쉽게 매매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기준금리가 특정 방향으로 움직일 것을 전망하고 레버리지 ETF에 투자할 경우엔 손실이 커질 수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레버리지 ETF는 일간 수익률 배수를 추종하기 때문에 시장 변동성이 크고 보유기간이 길수록 복리효과로 손실이 확대되는 고위험 상품이라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