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개월 남은 대선고지 향해 직행…'사법 리스크'는 막판 고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연임 당대표
'먹사니즘'으로 정책 역량 부각
금투세 우클릭…중도층 껴안기
‘영수회담’ 제안…與엔 ‘특검’ 압박
'복권' 김경수 도전 여부 변수로

이재명 신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8일 오후 서울 송파구 KSPO DOME(올림픽체조경기장)에서 열린 제1차 정기전국당원대회에서 정견발표를 하고 있다. 뉴스1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이변 없이 연임에 성공하면서 2년 7개월 뒤 차기 대선으로 가는 첫 단추를 무난하게 꿰었다. 이에 앞서 당 대표가 대선에 출마할 경우 1년 전 사퇴하도록 한 당헌도 ‘예외’를 둘 수 있도록 수정한 만큼 지방선거 공천권도 사실상 행사하면서 2년 임기를 거의 채운 뒤 대권에 도전할 수 있게 됐다.


이 신임 대표는 18일 취임 일성에서부터 윤석열 대통령에게는 ‘영수회담’을,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에게는 ‘대표회담’을 각각 제안하면서 당 대표이자 차기 대권 주자로서의 존재감을 드러냈다. 이 대표는 수락 연설에서 “4월 총선 직후 영수회담을 국민께서 기대를 갖고 지켜보셨지만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해 아쉬웠다”며 “가장 시급한 일은 민생 경제 회복이지만 국민께 희망을 드릴 수 있다면 의제를 제한할 필요가 없다”며 ‘열린 주제’로 만날 가능성도 남겼다.


한 대표를 향해서는 ‘채 상병 특검법’을 고리로 압박에 나섰다. 이 대표는 “한 대표도 제3자 특검 추천안을 제안한 바 있으니 특검 도입을 전제로 실체 규명을 위한 더 좋은 안이 있는지 열린 논의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제3자 추천’에서 여야 간 의견 조율이 된다면 야권은 물론 일부 여당 의원들도 동의할 가능성이 있다는 판단에서다.


다만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수사 결과가 나오기 전 특검 논의는 불가하다는 것이 여당 내 주류 입장인 데다 여권 내 일각에서는 민주당 연루 가능성을 주장해온 ‘제보 공작’ 의혹까지 포함한 특검법을 추진해야 한다고 맞불을 놓는 만큼 세부적인 간극을 어떻게 줄여나가는지가 합의의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 대표는 이와 함께 △민생회복지원금 △지구당 부활 등도 논의 테이블에 올리자고 제안했다.




이번 전당대회를 거치면서 민주당은 더 강력해진 ‘이재명 체제’를 구축한 모습이다. 경선 내내 모든 최고위원 후보들이 ‘친명 마케팅’을 펼친 만큼 이 대표가 이끄는 당무에 반대할 인사는 전무한 데다 ‘반기’ 가능성이 제기된 정봉주 후보는 6위로 탈락했다. 이 때문에 민주당의 이재명 2기는 선명성에 한층 방점을 두고 독주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 대표는 전대 기간 ‘먹사니즘’을 키워드로 민생·경제 이슈에 집중해왔다. 사실상 다음 대선을 바라보고 이 대표 본인의 민생 비전을 제시하기 위한 무대로 전당대회를 택한 것이다. 이 대표는 이날 정견발표에서도 윤석열 정부 비판 못지않게 △보편적 기본 사회 △에너지 고속도로 구축 등 ‘이재명표’ 정책 알리기에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


금융투자소득세 및 종합부동산세 완화 가능성을 언급한 것도 정책적 유연성을 보여주기 위한 계산된 행보였다는 평가다. 지역 화폐와 전 국민 25만 원 지원금 지급으로 대표되는 ‘서민 정책’뿐 아니라 중산층을 위한 민생 정책으로 확장 가능성을 열어두면서 새 지지층 잡기에 나선 것이라는 분석이다. 다만 당내 반발을 넘지 못하고 ‘금투세 강행’으로 선회하게 될 경우에는 말 바꾸기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사법 리스크’는 정치인으로서 이 대표가 넘어야 할 최대 장벽이다. 10월 초에는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선고가, 같은 달 말에는 위증교사 사건 선고가 잇따라 이뤄질 가능성이 있다. 판결 결과가 어떻게 나오는지에 따라 국민의힘의 공세는 물론 당내 대응 기조에도 변화가 생길 수 있다.


때마침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가 ‘복권’되면서 차기 대선에 도전할 자격을 얻은 것 또한 새로운 변수다. 김 전 지사가 상당 기간 중앙 정치와 거리를 두고 지낸 만큼 세력을 회복하기에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이지만 총선 공천에서 배제된 친문 그룹을 결집시킬 구심점 역할을 하기에는 충분하기 때문이다.


민주당의 한 관계자는 “이제 1심 선고인 데다가 실형이 나오지 않을 경우 당분간 ‘이재명 체제’에 큰 변화는 없을 것”이라면서도 “그러나 이번 선고로 사법 리스크가 끝나지 않는다는 것은 이 대표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