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우주에서 산림생태계 변화와 산불발생을 직접 관측하고 관리할 수 있을 전망이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오는 9월 9일 문을 여는 ‘국가산림위성정보활용센터’를 통해 한반도의 산림정보를 농림위성을 활용해 입체적이고 정확하게 관측해 산림생태계 변화에서 산림재난까지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됐다고 28일 밝혔다.
국립산림과학원은 농림위성 정보를 체계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전담기관으로 산림위성센터를 신설했다. 산림위성센터는 2025년 발사 예정인 농림위성 정보와 산림환경 빅데이터를 첨단 인공지능(AI) 기술로 융복합해 정밀 디지털 산림관리 체계를 견인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농림위성은 우주의 감시카메라(CCTV)와 같이 대형 산림재난을 감시하고 한반도 전역의 산림변화를 빈틈없이 모니터링하게 된다. 침엽수와 활엽수를 구분할 수 있는 5m급 해상도와 식물 활력 분석에 최적화된 고해상도 광학센서를 통해 기존 위성과 비교해 ‘더 넓고, 더 빠르고, 더 정확하게’ 산림을 관측할 수 있다.
농림위성은 국내 광학위성 최초로 120㎞를 한 번에 촬영해 촬영범위가 77㎞인 미국 위성(RapidEye)보다 1.6배 더 넓게 한반도 산림을 촬영할 수 있고 그 결과로 3일이면 한반도 전체를 촬영할 수 있어 더 빠르게 한반도 산림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특히 식물 활력 상태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적색경계(RE·Red Edge)와 근적외선(NIR·Near InfraRed) 대역을 함께 탑재해 더욱 정확하게 산림의 변화를 분석할 수 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농림위성에서 획득한 자료뿐만 아니라 10년 이상 축적한 자체 광역지상관측망을 활용해 ‘우주에서 지상까지’ 우리나라 산림을 촘촘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는 정밀 디지털 산림관리의 토대를 마련하고 자료의 신뢰도를 높일 계획이다.
배재수 국립산림과학원장은 “국가산림위성정보활용센터는 산림과학의 미래 성장동력이자 우리나라를 넘어 국제사회의 디지털 산림관리를 이끄는 게임 체인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광역산림정보의 신속한 제공으로 디지털 정밀산림관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농림위성의 긴급 촬영을 활용하여 신속하게 산림재난을 파악하고 ‘원스톱 분석’을 통한 산림재해 대응력을 강화할 수 있고 기후변화에 따른 산림의 이상현상을 신속하게 탐지하고 정교한 개화·단풍 예측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오는 9월 9일 서울 강동구 고덕비즈밸리에서 개소를 앞둔 산림위성센터는 산불피해목을 활용한 국내 최초의 공공목조 건축물로 지어져 산불 피해목의 활용성을 상징적으로 잘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