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으로 위성통신…비지상망 ‘세계 최초’ 경쟁

지상 기지국-인공위성 연결해 6G 효율적 구현
위성통신 업체 이리듐, 'NTN 다이렉트' 발표
스페이스X, 다이렉트투셀 위성 100여기 발사
KT, 무궁화위성 연동…정지궤도로 세계 최초

2030년께 상용화할 6세대 이동통신(6G)의 핵심 ‘비지상망(NTN)’ 기술을 두고 통신업계의 선점 경쟁이 치열하다. 지상 기지국 설치만으로는 한계가 있는 6G망을 위성통신을 활용해 구현하는 기술로 업계가 앞다퉈 표준 기술 확보에 나섰다.



이리듐의 '프로젝트 스타더스트' 사업. 사진 제공=이리듐

1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위성통신 기업 이리듐은 지난달 25일(현지 시간) NTN 기술을 활용한 위성통신 서비스 ‘이리듐 NTN 다이렉트’를 발표했다. 저궤도 인공위성을 활용해 스마트폰으로도 위성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는 올 초 회사가 공개한 관련 사업 계획 ‘프로젝트 스타더스트’의 일환으로 차세대 국제 표준인 ‘3GPP 릴리스19’ 인증과 추가 테스트를 통해 서비스를 고도화할 방침이다.


6G는 5G보다 빠르지만 통신 사거리가 짧아 기지국을 더 촘촘히 지어야 한다. 이미 비슷한 이유로 국내 이동통신 3사는 28GHz 5G망도 제대로 투자하지 않았던 만큼 지상 기지국 설치만으로는 6G 상용화에 한계가 있을 거라는 관측이 나온다. 기지국의 한계를 위성통신으로 보완하는 NTN 기술이 필요한 이유다. 다만 위성은 최소 수백㎞ 떨어진 곳에서 시속 수만㎞의 속도로 지구를 공전하기 때문에 지상과 통신할 때 어느 정도 지연이 발생하고 움직임에 따라 주파수도 왜곡되는 도플러 효과도 생긴다는 문제가 있다. NTN은 이를 잘 제어해 위성통신과 지상 기지국,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원활히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KT와 KT SAT이 위성 통신 파트너사와 지상의 5G 네트워크와 궤도 고도 35,800km에 위치한 무궁화위성 6호를 5G NTN(표준으로 연동하는데 성공했다. 사진 제공=KT

스페이스X도 위성통신 서비스 ‘스타링크’를 넘어 지상 안테나도 필요없는 사용자 직접 통신(D2D) ‘다이렉트 투 셀’ 서비스 상용화를 추진 중이다. 올 초 6기의 위성을 쏘아올려 문자 메시지 전송 실험에 성공한 후 지난달까지 100개가 넘는 위성을 발사했다. 링크는 팔라우 섬 등 태평양의 일부 통신음영지역에 제한적으로 자체 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AST스페이스모바일도 미국 통신사 AT&T와 관련 협업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애플, 퀄컴 등 스마트폰이나 칩 제조사들도 관련 기술을 개발 중이다.


국내에서는 KT가 세계 최초로 정지궤도 위성인 무궁화 6호와 기지국을 연동하는 국제 표준(릴리즈17) 기술을 확보했다고 지난달 30일 밝혔다. 정지궤도 위성은 저궤도 위성과 달리 사용자나 기지국 입장에서 위치가 일정하게 보이기 때문에 주파수 왜곡을 피할 수 있다. 다만 훨씬 높은 3만 5800㎞의 고도에서 공전하기 때문에 특히 더 정교한 연동이 필요하다는 게 업계 관계자의 설명이다. KT는 정지궤도에 이어 저궤도 위성을 활용한 NTN 기술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