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파식적] 바이브세션


전 세계를 공포로 몰아넣었던 코로나19 팬데믹이 2022년께 수그러들면서 미국 경제는 회복 국면을 맞았다. 하지만 미국인들은 지표상으로는 경제가 침체 상태에 있지 않았는데도 고물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등으로 경제적으로 불안해 했다. 이런 불안심리는 소비를 위축시키고 성장을 둔화시키는 악순환을 초래할 수 있다. 뉴욕타임스·블룸버그 등에 글을 써온 경제 평론가 카일라 스캔런은 당시 이러한 현상을 ‘바이브세션(vibecession)’이라는 신조어로 설명했다. 이후 이 단어는 대중매체는 물론 경제계 등에서 널리 쓰이게 됐다. 바이브세션은 각각 분위기와 경기 침체를 뜻하는 영어 단어 ‘바이브(vibe)’와 ‘리세션(recession)’을 합성한 말이다.


요즘 미국에서는 주가가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우고 있음에도 바이브세션이 거론되고 있다. 사는 게 쉽지 않다고 느끼는 미국인이 그만큼 많다는 뜻일 것이다. 고용·성장이 견조하지만 조 바이든 행정부의 경제정책이 실패했다는 여론이 대선을 앞두고 우세한 것도 같은 맥락으로 이해된다. 하지만 9월 전월 대비 비농업 부문 고용이 25만 명이나 늘면서 ‘바이브세션 탈출론’이 제기됐다. 시장 일각에서는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9월 ‘빅컷(0.5%포인트 금리 인하)’이 버블 위험을 높이는 실수가 될 수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신용불량자를 우려하는 미국 소비자가 2020년 4월 이후 최대로 늘었다는 뉴스가 바이브세션 탈출론을 다시 억누르고 있다. 15일 공개한 미국 뉴욕연방준비은행의 9월 소비자 기대 설문 조사에서 ‘3개월 안에 대출이자 등을 갚지 못해 연체에 빠질 것 같다’는 응답이 전월 13.6%에서 14.2%로 증가한 것이다. 기준 금리가 한 차례 인하됐지만 여전히 높아 경제주체들이 감당하기 쉽지 않다. 세계경제를 주도하는 미국이 연착륙에 실패할 경우 미치는 파장이 큰 만큼 대비책을 세워둘 필요가 있다. 우리 경제도 수출·물가 등 주요 경제지표는 좋지만 내수 부진으로 자영업자 등이 매우 어려운 시기를 보내고 있다. 정부는 다층 리스크에 대응하면서도 정교하고 복합적인 대책을 마련해 경제의 활력을 키워나가야 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