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일본 요코하마에서 열린 총선 캠페인에서 시민들이 노다 요시히코 일본 입헌민주당(CDPJ) 대표의 연설을 듣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한국보다 먼저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일본에서 상속인의 절반이 만 60세 이상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소비 성향이 낮은 고령 가구에 돈이 몰리면서 경제 활성화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2024년도 경제재정백서'에 실린 일본 정부 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2022년 기준 유산을 넘겨받은 상속인 중 60세 이상 연령자가 52.1%에 달했다고 24일 보도했다. 50대 상속인은 27.0%였고 49세 이하는 20.6%를 차지했다.
'노노 상속' 확산은 기본적으로 수명이 늘어난 데다 장수에 대비해 최대한 소비하지 않고 재산을 쌓아두려는 일본 노인들의 기류와도 맞물려있다. 2019년 사망으로 상속인에게 유산을 넘긴 피상속인 중 80세 이상 노인 비율은 70%에 달해 30년 전의 1.8배 수준으로 높아졌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전했다.
총무성의 2023년 가계조사를 보면 70세 이상 노인 가구의 평균 소비액은 전체 가구보다 적고 평균 저축 잔고는 많다. 이에 비해 젊은 층 가구는 주택담보대출 등으로 빚이 늘어 40세 미만 가구의 평균 저축은 782만 엔(약 7080만 원)인데 비해 평균 부채는 1757만엔(약 1억5900만 원)에 달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가계의 돈이 고령층에 머물면 경제 전체에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며 "하지만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노노 상속의 구도가 앞으로도 강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