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커머스가 전체 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포인트 상승하면 숙박·음식점업과 도소매업에서 최대 5만 4000명의 고용이 사라지는 효과가 발생한다는 국책연구기관의 분석이 나왔다.
김지연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29일 발표한 ‘온라인 소비 확대가 물가와 고용에 끼치는 영향’ 보고서에서 “경제 전반적으로 온라인 소비 비중에 추세를 웃도는 충격이 발생할 경우 고용을 축소시키는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김 연구위원은 온라인 소비가 전체 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포인트 증가할 때 숙박·음식점업, 도소매업, 운수·창고업의 취업자 증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했다. 분석 기간은 2011년 1분기부터 올해 2분기까지로 잡았다.
그 결과 온라인 소비 비중이 증가하면 그 고용 충격이 1~2년까지는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온라인 소비 비중이 1%포인트 확대한 뒤 반년이 지났을 때 취업자 수 감소폭이 가장 컸다.
숙박·음식점업에선 이 기간 동안 고용이 2만 7000명 감소했다. 도소매업에서도 2만 7000명 줄어드는 효과를 내는 것으로 추산됐다. e커머스 산업 발달이 대면 서비스업 고용엔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점이 확인된 셈이다. 반면 운수·창고업은 반년이 지난 뒤 취업자 수가 1만 7000명 확대됐다. 그러나 숙박·음식점업과 도소매업의 고용 감소폭을 상쇄하진 못했다.
온라인 소비 비중 확대 후 1년간의 평균 고용 증감을 봐도 결과는 비슷하다. 숙박·음식점업에선 2만 3000명, 도소매업에선 1만 9000명 줄어든 반면 운수·창고업에선 8000명 증가한 데 그쳤다.
김 연구위원은 “이처럼 일부 업종에서 고용이 창출됨에도 불구하고 온라인 소비 확대가 전체 고용에 상당 기간 하방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음은 단기간 내에 종사자들의 업종 간 이동이 쉽지 않음을 시사한다”며 “전통적인 도소매업 종사자들의 온라인 판로 확대를 지원하는 한편 전직 사양산업 종사자들의 재교육을 강화해 업종 전환을 도울 필요가 있다”고 짚었다.
다만 온라인 소비 확대로 인플레이션을 억제하는 효과도 있었다는 게 김 연구위원의 해석이다. 김 연구위원이 가구, 서적·문구, 의복, 화장품을 비롯한 9개 상품의 2017년 1분기~2024년 2분기 물가 수준을 분석한 결과 온라인 소비 비중이 1%포인트 상승하면 각 상품의 물가상승률은 당해 0.07%포인트 내려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2017~2024년 사이 소비자물가상승률을 약 1.1% 낮추는 효과가 있었다는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