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180개 권역·지역응급의료센터에서 근무하는 응급의학과 전문의가 꾸준히 증가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여름부터 각급 병원마다 발생한 응급실 진료 차질로 응급의료 붕괴 위기까지 나왔던 점과 다소 거리가 있는 수치로, 의료계는 정부가 실시한 보상 현실화가 영향을 미쳤다고 풀이한다.
5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각 의료기관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신고자료 기준으로 권역·지역응급의료센터 180곳에서 근무 중인 응급의학과 전문의는 10월 28일 현재 1604명이다. 전공의들이 의대정원 증원, 필수의료정책패키지 추진 등에 반발해 집단 사직하기 전인 작년 말 기준 근무자 1504명과 비교하면 6.7% 늘었다.
이들 응급의료센터에서 일하는 전문의 수는 10월 한 달 동안에도 26명 증가했다. 추석연휴 직전인 9월 2일 기준으로도 1577명으로 작년 말 수치를 웃돌았다. 응급의료법은 권역응급의료센터를 상급종합병원 또는 300병상을 초과하는 종합병원 중에서, 지역응급의료센터는 종합병원 중에서 지정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응급의학계는 권역·지역응급의료센터의 전문의 증가 추세 배경으로 정부가 수가(의료행위 대가) 등 보상을 현실화한 점을 꼽는다. 정부는 건강보험 재정을 투입해 전문의 진찰료를 권역·전문 응급의료센터에서 250%, 지역 응급의료센터에서 150% 가산했다. 이경원 대한응급의학회 공보이사(용인세브란스병원 교수)는 “통계와 현실 사이에 시차가 있다지만, 전문의가 늘고 있는 추세는 맞다”고 전했다.
이 교수는 “응급의학과 전문의들이 받는 돈이 단순히 늘었다기보다는 그동안 응급의료의 현실에 비해 적었던 보상을 현실화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정부가 보건의료 재난 위기 심각 단계가 종료될 때까지 진찰료 가산을 유지하기로 한 점은 다행”이라면서도 “이를 제도화하지 않으면 그땐 정말 응급의료가 무너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