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수 기업 매출액, 기업 투자 규모 등 증가세를 그리던 주요 기업 지표가 코로나19 이후 처음 역성장했다.
한국경제인협회가 13일 사업보고서 제출 대상인 비금융업 법인 814개사의 경영 성과를 분석한 결과 올해 상반기 이들 기업의 전체 매출액은 지난해 동기 대비 6.7% 증가했다.
다만 매출액 증가는 수출기업(194개사)의 매출액이 13.6% 늘어난 영향을 받았다. 수출기업을 제외한 나머지 내수 기업(620개사)의 매출액은 전년 동기보다 1.9% 감소했다. 2020년(-4.2%) 이후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이 감소한 것은 4년 만이다.
한경협은 한국은행의 기준을 준용해 매출액 중 수출 비중이 50% 이상인 기업을 수출기업, 그 미만인 기업을 내수 기업으로 분류했다.
매출액이 줄어든 내수 기업을 업종별로 보면 지주회사(-17.6%), 도소매업(-6.5%), 전기·가스·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5.5%), 제조업(-1.1%) 순으로 감소율이 높았다. 한경협은 지주회사의 매출 감소는 자회사 실적 부진에 따른 배당 축소, 도소매업의 감소는 소비 부진의 영향이 큰 것으로 풀이했다.
올해 상반기 수출기업 매출은 전년 대비 13.6% 반등했으나 이는 매출액이 크게 감소한 지난해(7.3%)에 따른 기저 효과가 작용했다고 한경협은 분석했다. 그마저도 가장 규모가 큰 삼성전자를 제외하면 증가율은 5.9%에 그쳤다.
올해 상반기 기업 투자 역시 2020년 이후 처음으로 감소(-8.3%)했다. 전체 기업 투자 증가율은 2020년 16.9%에서 2022년 9.5%로 낮아졌다가 지난해 15.7%로 반등했으나 올해 들어 다시 대폭 줄었다. 이에 경제 전반의 성장 동력이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고 한경협은 설명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내수 부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글로벌 경기 위축과 반도체 등 주력 업종 하락 사이클 진입 등으로 지금의 수출 실적이 정점이 아니냐는 위기감도 커지고 있다”며 “가계 소비와 기업 투자 활성화를 위해 유연한 통화정책, 투자 지원 확대, 규제 완화 등 전방위적인 경제 살리기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