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첫 시험비행 한국형 ‘상륙공격헬기’ 작전 능력은 어떻게 되나[이현호 기자의 밀리터리!톡]

국산 헬기 첫 공중전 공대공 유도탄 장착
천검 공대지 미사일 탑재 8㎞서 적 공격
20㎜ 터렛형 ‘기관총’·70㎜ ‘로켓탄’ 무장
각 계통 12.7㎜탄 대비 방호설계도 적용

해병대 상륙공격헬기(MAH)가 로켓탄을 발사하고 있는 이미지. 사진 제공=KAI

지난 2월 20일 국방부는 해병대사령부에 항공 작전과 정책을 전담하는 ‘항공참모처’를 신설할 계획을 밝혔다. 그러면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해병대사령부 직제 일부개정령안’도 입법예고했고 관련 절차를 거쳐 국무회의 의결을 통해 해병대사령부는 지난 3월에 항공참모처를 신설했다.


해병대 항공참모처는 영관급(대령)이 처장을 맡아 항공 정책의 수립 및 제도 발전, 항공 작전·교육훈련, 상륙헬기 체계개발 및 전력화 업무, 항공 장비 정비 등의 업무를 담당하게 된다.


세부적으로 해병대 항공 전력은 전시 상륙작전 임무 투입, 국가전략도서 방어, 신속대응작전 등의 임무 이외 재해·재난지원 등 다양한 항공 임무를 수행한다. 이를 항공참모처가 관리·감독하며 해병대 항공단을 통제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해병대 항공단이 주력으로 운용하는 상륙기동헬기 MUH-1 마린온과 더불어 앞으로 도입 예정인 상륙공격헬기 ‘MAH(Marine Attack Hrlicopter)-1’ 개발·확보·운용 등도 함께 담당한다.


방위사업청에 따르면 해병대 마리온은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체계개발을 거쳐 2016년부터 시작해 올해 6월말 7년 여만에 전력화를 마무리했다. 현재 해병대 항공단은 상륙기동헬기 MUH-1 마리온 28대의 전력화해 운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해병대 항공참모처 신설은 한국형 상륙공격헬기 도입을 통해 해병대 항공단의 완벽한 전력 구축과 함께 수륙양용 전력에 공중기동 역량까지 구비해 입체적인 상륙작전 수행력을 강화하는 ‘공지기동’(空地機動) 부대로 나아가는 밑거름을 마련하기 위한 첫 단추를 꿰운 것이다.


군 당국에 따르면 한국형 해병대 상륙공격헬기 MAH 제작사인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시제기를 10월 완성해 오는 12월 첫 비행을 실시할 계획이다. 상륙공격헬기 MAH 시제는 1∼3호기 제작해 10월부터 지상테스트 등을 거텨 12월 첫 시험비행을 시작할 예정이다. 이후 내년부터 본격 개발 단계에 진입해 2026년 하반기 체계개발 종료 후 전력화를 통해 24대를 해병대에 인도하게 된다. 해병대를 이를 통해 상륙공격헬기 개 비행대대 구축을 목표로 삼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해병대 상륙공격헬기(MAH)가 상륙작전훈련에 참여해서 기동하는 이미지. 사진 제공=KAI

해병대 상륙작전은 게임체이저와 같은 임무 수행으로 전쟁의 판도를 바꿀 수 있다. 당장 제2차 세계대전 중 노르망디 상륙작전으로 연합군은 유럽을 탈환했고, 6·25 전쟁 때도 인천 상륙작전의 성공으로 전장의 판세를 뒤집었다.


이처럼 바다에서 적지로 병력을 침투시켜 적의 허리를 끊는 전술인 상륙작전의 핵심은 해병대다. 이를 위해 적지에 투입되는 해병대 병력(상륙군)과 상륙돌격장갑차, K9 자주포 등과 함께 해병대 상륙기동헬기(MUH) 및 상륙공격헬기(MAH)는 핵심 전력으로 분류된다.


해병대 공중전력은 수륙양용 전력에 공중기동 역량을 갖추게 함으로써 입체적인 상륙작전 수행으로 더욱 효과적인 작전수행이 가능하게 만든다. 이는 해병대의 자체 항공부대가 없어진 지 48년 만인 지난 2021년 12월 1일 ‘해병대 항공단’의 공식 부활로 가능해졌다.


2026년 하반기 체계개발 4500억 투입

그렇다면 가장 핵심 공중전력이 될 ‘마린온 무장형’이라 할 수 있는 상륙공격헬기(MAH) 위력은 얼마나 될까.


수리온 기반 국산 상륙기동헬기 MUH-1 마린온에서 파생된 상륙공격헬기(MAH)는 국산 소형무장헬기(LAH)의 무장기술을 접목해 제작한다. 탑재되는 장비나 무장을 제외하면 제원 등 큰 뼈대는 수리온과 동일한 셈이다. 합참 및 군에서 요구하는 기동성, 화력 및 생존성 등 제반 요구성능을 충족하도록 설계된다.


특히 상륙공격헬기(MAH)는 국산 헬기 최초로 공중전에 대비하기 위해 공대공 유도탄이 장착된다. 20㎜ 터렛형 기관총과 2.75인치 유도·무유도 로켓탄 등의 무장도 탑재될 예정이다.


또 표적획득지시장비(TADS) 탑재를 통해 다수의 표적을 동시에 추적할 수 있다. 국산 천검 공대지 미사일을 탑재해 8㎞ 거리에서 공격도 가능해진다. AH-64, AH-1과 동일한 수준이다.


방호 개념도 도입된다. 동체와 엔진, 조종석, 블레이드 및 각 계통에 12.7㎜탄에 대한 방호설계가 적용된다 조종사 및 사수의 안전을 위해 방호능력도 추가될 예정이다. 방호능력 피격 시 추락하지 않고 임무를 지속 수행하도록 적용되는 설계기법이다.


아울러 상륙공격헬기(MAH)는 해상 및 함상에서의 운용이 쉽도록 특화된다. 이를 위해 해양 작전 환경에서의 운용을 고려해 기체 방염 등 부식 방지 기술도 적용된다. 현대전 특성상 생존성은 항공기 자체의 비행 성능보다 위협을 사전에 탐지하고 대응할 수 있는 항전시스템의 중요성을 강조해 상륙작전 수행 능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군 당국은 상륙공경헬기(MAH) 체계 개발사업에 2026년까지 약 4500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2028년까지 전력화를 완료한다는 목표다.


해병대는 2023년까지 상륙기동헬기 마린온 28대를 도입해 2개 상륙기동헬기 비행대대를 편성하고 있다. 앞으로 MAH 24대를 도입해 상륙공격헬기 1개 비행대대를 추가 편성한다는 복안이다.


군 관계자는 “해병대 상륙공격헬기에는 최신 항전 및 무장체계가 적용되고 공대공 유도탄·공대지 미사일 등 무장도 장착한다”며 “상륙공격헬기의 도입을 통해 상륙군의 항공화력 지원능력을 보강하고 적 기습에 대비할 수 있는 능력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