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행 따라 2차전지 한다더니 감감무소식…10곳 중 7곳은 추진 안 해

매출 발행한 곳은 5곳 중 1곳뿐
신사업 추진할 역량 있는지 봐야


시장에서 관심이 쏠리는 2차전지, 인공지능(AI) 등 신사업을 하겠다고 공시한 기업 5곳 중 4곳은 관련 매출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관에 사업 목적을 추가한 이후 추진하지도 않은 기업 중에선 상장폐지 위험에 노출되거나 불공정거래에 악용되는 사례가 많은 만큼 투자에 유의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25일 금융감독원이 2023년 중 2차전지·AI·로봇·가상화폐·메타버스·신재생에너지·코로나 등 7개 주요 신사업을 추가한 86개사를 대상으로 실태를 분석한 결과 27개사(31%)는 사업추진 실적이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인력 구성, 연구개발 활동 내역, 제품·서비스 개발 진행 상황, 실제 매출발행 중 하나라도 이뤄지지 않은 것이다.


조사 대상은 지난해 1월 1일부터 올해 6월 30일까지 주요 7개 테마 업종을 사업 목적으로 추가한 회사로 코스피 24개사, 코스닥 107개사 등 131개사다. 기존 사업과 무관하게 유행 테마에 따라 2차전지, 신재생에너지 관련 사업 목적을 추가한 회사가 각각 56개사, 41개사로 가장 많았다.


문제는 사업을 추진하지 않은 기업들은 대부분 재무·경영 안정성이나 내부 통제 등에서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노출됐던 곳이라는 것이다. 최근 3년 연속 영업손실이 발생한 곳이 13개사, 자본잠식이 7개사 등으로 재무상황이 열악해 신사업을 추진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회사 최대주주가 변경된 사례도 13개사로 빈번하게 나타났다.


특히 실제 매출까지 발생한 회사는 16개사(19%)에 불과했다. 이마저도 매출을 구분 관리하거나 테마 관련 기술을 접목한 주요 제품에서 매출이 발생한 회사는 8개사(9.3%)에 그쳤다. 나머지 70개사(81%)는 관련 매출이 없었다.


앞서 금감원은 신사업 관련 공시 제도 정착을 유도하기 위해 2024년 반기보고서를 대상으로 신사업 진행상황 공시와 테마업종 사업추진 실태에 대한 중점 점검을 실시했다. 점검대상인 324개사 중 작성기준을 충족한 회사는 145개사(45%)에 불과했다. ‘사업 추진현황 및 미추진 사유’ 항목에 대한 기재가 가장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코스닥 상장사(60.8%)가 코스피 상장사(42.3%) 대비 미흡했다.


금감원은 신사업을 사업 목적으로 추가하더라도 이를 실제로 추진하는 경우는 일부에 불과한 만큼 실제 사업 추진 여부나 경과를 주기적으로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신사업에 수반되는 대규모 자금조달 공시가 있더라도 발행대상자의 재무현황, 최대주주 등을 확인해 실제 납입능력이 있는지를 따져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