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최대 수출 품목인 반도체 D램 가격이 넉 달 만에 36% 가까이 급락하면서 우리 경제에 복합 위기가 올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8일 시장조사 업체 D램익스체인지에 따르면 PC용 D램 범용 제품(DDR4 8Gb 1Gx8)의 평균 고정 거래 가격은 11월 말 기준 1.35달러로 나타났다. 이는 7월(2.1달러) 대비 35.7% 떨어진 것이다. 재계의 한 고위 관계자는 “D램 가격이 흔들리면 삼성전자 등 대표 기업의 실적이 빠지고 세수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된다”며 “정치가 아닌 경제에 비상계엄령이 떨어진 것”이라고 말했다.
올 하반기 들어 D램 가격이 급락하는 이유는 수요과 공급 양 측면에서 악재가 겹친 결과로 볼 수 있다. 우선 수요 측면에서는 스마트폰이나 PC와 같은 정보기술(IT) 기기 수요가 살아나지 않고 있다. 중국 등 주요 국가의 내수 심리가 얼어붙어 주요 IT 세트 업체들이 D램 재고 조절에 나서고 있는 상태다.
여기에 공급 측면에서는 중국 업체들이 물량 공세에 나서고 있다. 아직 고대역폭메모리(HBM) 같은 선단 제품에서는 한국을 따라잡지 못하고 있지만 더블데이터레이트4(DDR4)와 같은 레거시(범용) 제품에서는 가격경쟁력을 앞세워 시장을 흔들고 있는 것이다. 실제 중국 메모리 업체인 창신메모리테크놀로지(CXMT) 등은 DDR4 8Gb D램을 시중 가격의 절반 수준인 1달러 안팎에 팔아치우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박유악 키움증권 연구원은 “올해 말과 내년 초에 D램 가격은 예상보다 크게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CXMT 등이 제품을 저가 판매하고 있어 내년 2분기까지 D램 공급 증가율이 수요 증가율을 상회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HBM과 같은 선단 제품도 안심하기는 어렵다. 범용 제품인 DDR4에서 사실상 경쟁력을 잃은 국내 업체들이 DDR5 등으로 생산 역량을 집중할 경우 선단 제품에서도 공급과잉이 일어날 수 있어서다. 여기에 내년에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으로 정책 변수가 본격화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그나마 반도체 가격 상승을 이끌고 있는 인공지능(AI) 메모리 특수가 약해질 가능성도 있다.
이미 11월 기준 PC용 DDR5 16Gb 제품의 평균 고정 거래 가격은 3.9달러로 10월의 4.05달러 대비 3.7% 떨어졌다. 7월(4.65달러)과 비교하면 하락 폭이 16.1%에 이른다.
재계는 반도체 가격 하락세가 더 가팔라질 경우 우리 경제 전반에 미치는 부작용이 커질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의 실적 부진이 장기화하면 매년 수십조 원에 이르는 양 사의 시설 투자 계획에도 차질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투자가 줄어 내수 경기 전반이 위축되는 일종의 ‘역승수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반도체 업계의 한 관계자는 “현 상황에서 반도체 다운사이클이 겹치면 경제 전반에 쇼크가 올 수도 있다”며 “최소한 기업 경영에 대해서는 불확실성을 줄여줄 수 있도록 정치권의 배려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