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폭력도 고통도 아냐…여덟살부터 내 질문은 사랑이었다"

◆스웨덴서 노벨문학상 강연
'빛과 실' 주제로 작품 세계 회고
31년간 글쓰기 원동력은 '사랑'
여덟살 때 쓴 詩, 지금의 나와 연결
폭력·죽음에 끊임없이 질문 던져



7일(현지 시간) 2024년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한강이 스웨덴 스톡홀름 한림원에서 강연을 하고 있다. /AP연합뉴스


"첫 소설부터 최근의 소설까지, 어쩌면 내 모든 질문들의 가장 깊은 겹은 언제나 사랑을 향하고 있었던 것 아닐까? 그것이 내 삶의 가장 오래고 근원적인 배음(倍音)이었던 것은 아닐까?”


올해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한강은 7일(현지 시간) 스웨덴 스톡홀름의 한림원에서 진행된 노벨문학상 수상자 강연에서 자신의 31년 간의 글쓰기의 동력이자 핵심이 사랑이었다고 말했다. 한강은 ‘세계는 왜 이토록 폭력적이고 고통스러운가’ ‘동시에 세계는 어떻게 이렇게 아름다운가’ 두 가지 질문이 자신의 문학 세계 핵심이라고 생각해 왔는데 이를 의심하고 새롭게 바라보게 됐다고 했다.


이날 한림원에서 진행된 강연에서 한강 작가는 전날 기자회견과 같은 검은색 브이넥 정장 차림에 짙은 은색 머플러를 두르고 있었다. 이날 강연 제목은 ‘빛과 실’. 한강은 지난해 1월 창고를 정리하다 발견한 오래된 구두 상자로 서두를 열었다. 그 상자 안에는 A5용지 사이즈의 갱지를 반으로 접어 책 형태로 분철한 시집이 있는데 그 중 한 시에 눈길이 갔다고 전했다. 두 연으로 이뤄진 시였다. “사랑이란 어디 있을까? / 팔딱팔딱 뛰는 나의 가슴 속에 있지. // 사랑이란 무얼까? /우리의 가슴과 가슴 사이를 연결해주는 금실이지.”


1979년 당시 4월 당시 여덟 살이었던 한강이 쓴 시는 그에게 자신의 문학을 관통해온 어떤 질문을 확인하게 했다. 그는 “그 여덟 살 아이가 사용한 단어 몇 개가 지금의 나와 연결돼 있다고 느꼈다”고 말했다.



7일(현지 시간) 2024년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한강(오른쪽)이 스웨덴 스톡홀름 한림원에서 마츠 말름 한림원 사무총장과 함께 웃으며 대화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등단한 뒤 꾸준히 장편 소설에 몰두한 한강 작가는 장편소설을 쓰는 일에는 특별한 매혹이 있었다고 표현했다. 그에게 장편 소설의 시간들은 '떠오르는 질문들을 견디며 사는 시간’이다. 세 번째 장편소설인 ‘채식주의자(2007)’를 쓰던 시기의 질문은 ‘우리는 얼마나 깊게 폭력을 거부할 수 있는가’ ‘그걸 위해 더 이상 인간이라는 종에 속하기를 거부하는 이에게 어떤 일이 일어나는가’였다. 육식을 거부하고 결국 스스로 식물이 되었다고 믿는 주인공 영혜는 결국 죽음에 가까워진다.


폭력을 위해 삶을 거부할 수도 없는 인간이 어떤 방식으로 나아갈 것인가에 대한 질문은 다음 소설 ‘바람이 분다, 가라(2010)’로 이어진다. 이 소설에서 한강은 죽음과 폭력에 대항하는 생명력에 대해 이야기한다. 다음 장편 소설인 ‘희랍어 시간(2011)’에서 한강은 다시 질문을 던진다. ‘우리가 이 세계에서 살아나가야 한다면 그건 어떤 지점에서 가능한가’. 이 소설의 끝에서 언어를 잃은 여자의 손이 시력을 잃어가는 남자의 손바닥에 몇 개의 단어를 쓰면서 답을 찾는다. ‘서로에게 자신의 연한 부분을 보여주는 것’.



/연합뉴스


이윽고 다음 해 광주를 만난 것은 한강의 소설 세계에 있어서 큰 변화였다. 한 젊은 야학 교사의 일기를 접한 그는 오랫동안 해왔던 질문을 거꾸로 뒤집었다. ‘과거가 현재를 도울 수 있는가’ ‘죽은 자가 산 자를 구할 수 있는가’. 그는 “'소년이 온다'를 출간한 뒤 독자들이 이 소설을 읽으며 느꼈다고 고백한 고통이 내가 소설을 쓰는 과정에서 느낀 고통과 연결돼 있었다”며 ‘고통은 사랑의 증거인 것일까’하는 질문을 갖게 됐다고 전했다.


강연 말미에서 다시 ‘금실’을 언급한 그는 “언어가 우리를 잇는 실이라는 것을, 생명의 빛과 전류가 흐르는 그 실에 나의 질문들이 접속하고 있다는 사실을 실감한다”며 독자적인 생명을 지니게 된 책들도 심장에서 심장으로 이어지는 금실을 타고 여정을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