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경원 넘긴 개도국 부채…“디폴트 위험도 커진다”

IMF 개입에 올해 부도·디폴트 국가는 '0'
만기 도래 채권 이자 비용 오르는 가운데
트럼프 2기 지정학적 불확실성도 커져
"단기 디폴트 위험 낮지만 중장기는 불안"

무려 9번의 디폴트를 선언한 아르헨티나는 내년 약 90억 달러 규모의 외화 채권에 관한 이자 및 원금 상환을 앞두고 있다. 하비에르 밀레이 아르헨티나 대통령이 지난 5월 출판 발표회에서 춤을 추고 있는 모습 /AFP연합뉴스

개발도상국의 공공부채가 지난해 4경 원을 넘겨 연간 이자로만 국가 수입의 10% 이상을 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백악관 복귀 등 대외 불확실성과 맞물려 신흥국 채무불이행(디폴트)에 대한 우려 역시 커지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15일(현지 시간)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의 연례 부채 보고서를 인용해 개도국 공공부채가 지난 10년간 2배 이상 늘어나 지난해 29조 달러(약 4경 1545조 원)까지 불어났다고 밝혔다. 연간 이자만 해도 8470억 달러(약 1213조 원)에 달했다. 이 중 54개국은 국가 수입의 10% 이상을 이자 상환에 쓰고 있었고 파키스탄·나이지리아 등은 세수의 30%까지 이자를 내는 데 썼다.


다행히 올해 부도에 빠지거나 디폴트를 선언한 국가는 한 곳도 없었다. 모건스탠리는 국제통화기금(IMF) 등 국제기구의 개입으로 올해도 비슷한 흐름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이런 가운데 고위험·고수익 개도국 국채 투자는 올해 고수익을 낼 것으로 관측됐다. 블룸버그는 올해 채권 수익률 상위 10위가 모두 하이일드(신용등급이 낮은 채권)였고 이들 채권의 연평균 수익률이 55%에 달했다고 짚었다.


다만 트럼프의 재집권에 따른 지정학적 불확실성, 중국 경제의 부진 등은 개도국에 불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모건스탠리가 집계한 EPFR 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신흥국 외화 부채에 투자하는 상품에서 이미 140억 달러(약 20조 원)의 자금이 빠져나갔다. 또 JP모건체이스에 따르면 향후 2년 내 만기가 도래하는 신흥국 해외 채권 규모는 1900억 달러(약 272조 원)에 달한다. RBC의 수석 포트폴리오 매니저인 앤서니 케틀은 “단기적으로는 채무불이행 위험이 낮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이자 비용을 감당할 수 있는지 의문이 커지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분석가들 역시 지난달 보고서에서 “부채 수준과 차입 비용으로 인해 향후 10년간 신흥국에서 과거보다 더 많은 채무불이행이 발생할 것”이라고 짚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