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국민연금 해외 투자, 환율영향 고려해야…외환보유고는 충분"

한국국제경제학회 동계학술대회 기조연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오전 서울 동대문구 서울시립대학교에서 열린 한국국제경제학회 동계학술대회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뉴스1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국민연금의 해외투자 전략 수립시 외환시장에 미치는 거시경제적 영향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국민연금과 같은 연기금이 해외투자의 ‘큰 손’이 된 만큼 원화 절하를 유발하는 주체가 됐다는 배경에서다.


이 총재는 이날 서울시립대학교에서 열린 한국국제경제학회 동계학술대회 기조연설에서 "국민연금의 해외투자 규모가 커져 외환시장 영향력이 크게 증대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총재는 국민연금의 해외 자산 매각 시 원화 절상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우려했다. 그는 "앞으로 고령화 진전과 연금수급자 증가로 기금감소기가 도래하면 해외자산 매각에 따른 국민연금의 외환 순매도가 원화 절상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이 총재는 수익률 제고를 위해서라도 국민연금의 원화 표시 방법, 환 헤지 전략 등을 다각화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연기금이 수익 표시를 원화로 하다 보니 환율 절하가 되면 수익성이 커지는 것 같지만, 실제 자산을 팔 때에 대해서는 환율을 절상시키고, 이렇게 되면 원화 수익률은 낮아질 수 있다”고 짚었다. 이어 “국민연금도 환율이 이례적으로 상승한 시기에는 환 헤지를 하는 것이 리스크 관리 및 수익 측면에서 유리하므로 외환시장에 끼치는 영향력을 고려해 거시적인 안목에서 전략을 짜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창용 총재는 또 일각의 지적과 달리 한국의 외환보유액 수준이 충분하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국제통화기금(IMF)의 적정 외환 보유액 수준에 보면 우리(한국)가 조금 밑에 있으니까 불안한 거 아니냐 이런 얘기가 있는데 그건 금융 신흥국에 대해서 적용하는 정량평가 기준"이라고 짚었다. 이어 "IMF가 2023년부터는 한국을 더 이상 정량평가 대상국으로 보지 않고 있다"면서 “IMF는 일부 시장성숙국에 한해 스트레스 테스트, 전통적인 비율 지표들을 활용해 외환보유액 적정성에 대해 정성평가를 하는데, IMF 내부에서 이 정성평가로는 한국의 외환보유고가 굉장히 충분하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이 총재는 환율 안정을 위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와의 통화스와프는 쉽게 쓸 수 있는 카드가 아니라고 설명했다. 그는 연준과의 통화 스와프를 위해선 조건이 필요하다고 했는데 △국제금융시장의 글로벌 달러 유동성 부족 △유동성 부족으로 인한 신흥국 경제 충격 △충격으로 인한 미국 경제의 부담을 포함한 세 가지다. 이 총재는 “2022년 하반기 상황은 이러한 조건에 부합하지 않았다”며 “글로벌 달러 유동성 경색의 징후가 나타나지 않았다”고 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