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공 "사고 원인 정비소홀은 아냐…1.4조 배상책임보험으로 신속 지원"

■제주항공 무안 참사
김이배 대표 "수습 총력 다할것"
현장대책본부 꾸려 260명 파견

송경훈 제주항공 경영지원본부장이 29일 서울 강서구 메이필드 호텔에서 무안 제주항공 참사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주항공이 항공기 배상책임보험을 바탕으로 사상자와 유가족들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사고가 정비 소홀로 발생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에는 “그렇지 않다”고 강조했다.


송경훈 제주항공 경영지원본부장은 29일 오후 6시쯤 서울 강서구 메이필드호텔에서 긴급 브리핑을 열고 “(사고가 발생한) 항공기는 약 10억 달러(약 1조 4000억 원) 배상책임보험에 가입돼 있는 상황”이라며 “보험을 바탕으로 희생자 지원에 모자람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설명에 따르면 해당 항공기는 주 보험사인 삼성화재를 포함해 4개의 보험사에 가입돼 있다.


송 본부장은 이날 사고가 제주항공의 정비 부실로 인해 벌어진 것이 아니라고 강조했다. 송 본부장은 “항공기 정비에는 양보가 있을 수 없고 이번 사고는 정비 소홀과 같은 이슈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항공기 출발 전에 이뤄지는 수시 점검과 정기 점검 등 계획된 정비 절차를 모두 정상적으로 마쳤다는 주장이다.


김이배 제주항공 대표이사도 머리를 숙였다. 그는 이날 오전 진행된 1차 브리핑에서 “사고 원인을 불문하고 최고경영자로서 책임을 통감한다”며 “빠른 사고 수습과 탑승자 가족 지원을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이배 제주항공 대표가 29일 무안국제공항 여객기 참사 관련 프레스센터가 설치된 서울 강서구 메이필드 호텔에서 사고 관련 브리핑을 마친 뒤 회견장을 빠져나가고 있다. 연합뉴스

다만 김 대표 역시 사고 원인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김 대표는 “사고 원인에 대해서는 정부 기관의 조사가 있어야 한다”며 “사고 수습과 유가족 지원이 최우선인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초기 사고 원인으로 지목된 버드 스트라이크(조류 충돌)의 유무에 대해서도 답하지 않았다. 김 대표는 무안공항 관제탑과 항공기 기장 간의 대화와 관련해서도 “기내 비행기록장치(FDR)와 조종실음성녹음장치기(CVR) 자료를 사고조사본부에서 파악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제주항공은 무안에 현장대책본부를 구성하고 260여 명의 직원을 파견해 탑승자 가족 지원에 나서고 있다. 명단 확인은 물론 광주와 목포·무안 인근에 객실을 확보해 장거리에서 찾아온 탑승자 가족이 이용할 수 있도록 조치하고 있다. 이외에도 사고 조사를 위한 조사팀을 별도로 파견해 국토교통부의 사고 조사 과정을 도울 계획이다.


정상적인 점검을 받았다는 제주항공 경영진의 설명과 달리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는 정비가 부실했다는 제주항공 재직자들의 증언이 잇따르고 있다.


실제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제주항공은 2021년부터 올해까지 4년간 국토교통부로부터 7건의 제재를 받았다. 2021년 6월 후방 동체 손상 상태로 운항을 지속해 과징금 2억 2200만 원과 조종사 자격 증명 효력 정지 30일 처분을 받았으며 같은 해 9월에도 날개 끝 손상 상태로 비행기를 운항해 과징금 7억 1000만 원, 항공정비사 및 운송용 조종사 자격 증명 효력 정지 제재를 받았다. 2022년에는 허가받지 않은 위험물을 운송한 사실이 적발돼 인천과 홍콩 노선에 대해 20일 운항 정지 처분을 받았다. 또한 같은 해 항공기 제동 장치 미작동 시의 운항 절차를 준수하지 않아 인천·청도 노선에서 7일간의 운항 정지 제재를 받았다. 지난해에는 엔진 하부 덮개 손상 상태로 항공기를 운항해 정비 규정 위반으로 11일 운항 정지 처분을 받았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