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의 기원 [김다은의 웹소설] <18회>

서울시오페라단의 오페라 ‘라보엠’ 공연 모습. 사진 제공=세종문화회관

18. 가장 오래 산 인간 무드셀라


“성경을 보면, 가장 오래 산 사람이 969살의 무드셀라였어요. 우리는 그 십 분의 일도 제대로 살지 못해요. 이 세상에서 영원히 살 듯 살아가지만, 누구나 끝이 있음을 알아요. 단지 모르는 척할 뿐이지만…….”


장례식장에 와서 할 말은 아니었다. 인생이 그러하니, 아버지의 죽음이 당연하다는 뜻일까.조문하려면 제대로 할 것이지, 전혀 위로되는 언사는 아니었다. 하지만 항의나 저항을 할 기운이 없었다.


“무드셀라의 삶도 하나님이 보시기에는 너무 짧아요. 우리에게는 더 긴 생명이 예비되어 있답니다. 영원한 생명.”


장례식에 와서 영원한 생명을 논하다니! 자리를 피하고 싶었지만, 그녀는 말했다.


“제가 대담장에서 금발이었던 이유는 한 연극에서 역할을 맡고 있었기 때문이에요. 연극 공연이 끝나고 본래 제 모습으로 돌아온 거예요. 이 책은 꼭 전해드리라는 분이 있어서 가지고 왔어요. 『인공낙원의 문』의 표지 문구의 출처가 이 책이에요.”


여자가 내민 하얀 가죽 표지의 책은 그러니까, 성경이었다. 자신의 홍보용 책이 아니었다. 여자는 내가 표지 문구의 의미를 꿰뚫지 못했음을 알고 있었다. 그러므로 누가 전하라고 했건 성경을 내민다는 것은 공부 좀 하라는 뜻이었다.


“제가 대담장에 간 이유도 표지 문구 때문이었어요. 김아리랑 팀장님이 책의 표지 문구가 무슨 뜻인지 모르겠다며, 저에게 대신 나가는 것이 어떠냐고 물었어요. 교회 다니니 성경을 잘 알지 않겠냐고 하면서요.”


“…….”


“김아리랑 팀장님은 세계적인 작가들을 상대하니 다섯 개국의 언어를 자유롭게 사용하고 문학을 전공하셔서 문학적인 표현이나 수사법까지 잘 이해하셔요. 하지만 그분도 표지 문구를 이해하지 못하는 자신을 이상하게 생각하셨거든요.”


“…….”


“팀장님이나 대담자님이 표지 문구를 이해하지 못한 것은 당연한 일이에요.”


그녀가 직설적으로 나의 몰이해를 들추어내는 바람에 몸을 움찔했다.


“인간들도 그렇지만, 하나님도 누구에게나 자신의 비밀을 알려주지 않으시니까요.”


“그러면 댁은 하나님이 비밀을 알려주어 표지 문구를 이해하신다는 말이군요.”


“네.”


너무나 간단하게 대답해서 나는 할 말을 잃었다. 그 당돌함이 나의 맹렬한 토론 기질을 건드렸다.


“성경은 교회에서 여자들은 잠잠하라고 말하지요?”


장례식에서도 잠잠했으면 좋겠다고 덧붙이려다가 말았다. 여자는 전혀 흔들림이 없었다.


“그 표현은 바울이 고린도 교회에서 방언과 예언할 때 품위와 질서를 지키지 못한 문제를 지적하기 위한 것이었어요. 여자가 교회에서 잠잠하라는 표현은 역설적으로 여성들이 방언과 예언을 교회에서 했다는 반증이죠. 단지 방언이 하나님에게서 온 것이 아니라 자신에게서 나온 것처럼 굴었기에 그런 경계를 적은 것입니다. 왜냐하면, 바울이 구약시대의 여자 사사 드보라나 여자 선지자 미리암을 모를 리가 없거든요. 특히 로마서에서 유니아 사도를 직접 소개까지 하고 있으니 바울이 교회에서의 여성의 역할을 비하하거나 부정만을 언급한 맥락은 아니에요. 물론 말씀하신 표현들 때문에 시험에 걸리거나 주변의 반격을 받은 경우가 저도 있습니다. 하지만 성령의 주체가 전달하는 사도나 사람에게 있지 않고 주님에게서 나온 말씀 자체로 넘어왔어요.”


여자와 논쟁을 벌이니 여태 갈피를 잡지 못하던 머리가 조금씩 정리가 되었다. 어머니는 나를 아주 잘 알고 있었다. 나의 이런 기질을 알고 이 여자와의 자리를 마련한 것은 아닌가 싶었다. 나는 내친김에 말했다.


“성경은 여자의 머리가 남자라고 하지요?”


여자는 망설임 없이 반격했다.


“그 뒷부분에 그리스도의 머리는 하나님이시라는 구절이 있어요.”


“남자가 여자의 머리라는 구절에 불편해하는 여자들을 본 적이 있거든요.”


“머리는 영적 중심이라는 뜻이에요. 머리 역할도 중요하지만, 몸의 역할도 마찬가지로 중요해요. 서열이 아니라 역할이니 그 역할을 잘 하는 것이 중요하답니다.”


그녀는 사람을 거스르지 않는 매우 부드러운 혀를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토론의 본질을 놓치지 않았다.


“다시 표지 문구에 관해 이야기하면, 성경 욥기에 이런 구절이 있어요. ‘누가 먼저 내게 주고 나로 하여금 갚게 하겠느냐 / 온 천하에 있는 것이 다 내 것이니라.’ 이 말씀처럼, 하나님은 본래 빚진 것이 없는 분이에요.”


“그렇다면 표지 문구에서 값으로 사신 주체가 누구입니까? 하나님이지요?”


“네. 사람이 아니라 하나님이 맞아요.”


“그러니까 모순적이라는 것입니다. 온 천하가 하나님의 것이라면, 인간도 하나님의 것이라면 왜 우리를 위해 값을 치렀다고 하십니까?”


“사람이 죄를 지으면서 하나님과의 관계가 단절되었고, 또한 죄의 삯으로 죽음을 피할 수 없게 되었어요.”


“그런데 왜 하나님이 우리를 위해 값을 치러야 했느냐는 것입니다.


“사람이 지은 죄가 사라져야만 다시 하나님과의 관계가 회복되고 새로운 생명을 얻을 수 있으니까요. 그래서 사람의 죄가 사라지도록 대가를 지불한 것이지요.”


“하나님이 치른 값이 무엇이라는 것인가요?”


“하나님이 자신의 독생자를 내어주시고 우리를 대신해서 십자가에 못박혀 돌아가시게 했습니다. 예수님의 피로 우리의 죄를 씻은 것입니다. 그래서 다시 우리가 하나님과 다시 연결될 수 있게 된 것이지요.“


“그러면 그 값이 예수님이라는 뜻이군요.”


“네. 독생자 예수님!”


“어이가 없네요. 내 말이 그 말입니다. 예수가 우리 죄를 위해 못 박혀 돌아가셨다. 이 말은 모르는 사람이 없습니다. 그런데 왜 모순적인 문장으로 사람들을 헷갈리게 했습니까.”


“예수님이 못 박혀 돌아가셨다는 사실만으로 구원이 일어나는 것은 아니니까요. 예수님이 내 죄를 대신해서 십자가에서 돌아가신 후 부활한 것을 마음으로 믿고 입으로 시인해야 구원을 받아요. 그래서 하나님이 치른 값은 당신의 독생자이지만, 우리에게는 무상으로 주어지는 은혜랍니다.”


대담장에서 끝내지 못한 대담을 여기서 계속하는 느낌이었다. 구토와 함께 왔던 어지럼증이토론을 하니 조금씩 가라앉았다. 어머니가 그런 나의 변화를 꿰뚫어 보고 저쪽에 서 계셨다. 나는 갑자기 생각난 성경 구절을 꺼냈다.


“요한복음을 보면 하나님의 말씀을 받은 사람들을 신이라고 하던데, 유일신을 섬기는 자들이 모두 신들이 된다는 것이 얼마나 모순입니까?”


“인간이 신이 된다는 것……은 하나님의 생명을 예수님을 통해 받으면 우리 안에 하나님의 영생이 거하고 사람도 신성을 지니게 된다는 뜻이에요. 아마 그때부터 하나님의 말씀을 이해하게 되는 것 같아요.”


“그러면 댁도 신이고 영생을 살게 되겠군요.”


“영생은 단순한 시간적인 개념이 아니라, 유일하신 참 하나님과 그의 보내신 자 예수 그리스도를 아는 것이에요. 요한복음 5장 24절에 따르면 저에게도 이미 영생의 시간이 시작되었다고 감히 말할 수 있어요. ”


“그 많은 죄를 예수의 피로 씻을 수 있다는 것이 믿기지 않습니다.”


“예수님의 보혈로 죄를 씻지 못하면 성령의 가르침을 받을 수 없으니 말씀을 이해하지 못한답니다. 하나님은 영이시니 성경은 영의 언어예요. 학식이나 지식과는 다른 지혜랍니다. 눈으로 잘 읽는다 해도 그 뜻을 알지 못하고 어찌어찌하여 머리로 일부 이해한다 해도 거기에 함축된 깊은 뜻을 이해하지 못해요. 생명의 빛이 마음을 열어 성령이 함께 마음으로 이해하게 해주셔야 해요. 그러니까 대담자 님이 표지 문구를 이해하지 못한 것이 전혀 이상한 일이 아니랍니다.”


그 말을 들으니 왠지 여자에게 내 속마음을 그대로 털어놓고 싶어졌다.


“나는 하나님의 형상대로 나를 지으셨다는 것이 믿기지 않습니다. 나는 수많은 죄를 지었는데, 죄인의 원흉같은 나의 모습이 원래는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지어졌다는 것이 믿기지 않습니다. 상상조차 되지 않습니다. 나는 하나님의 형상이 아니라, 죄의 형상을 지니고 있습니다.”


여자가 갑자기 화사하면서도 놀란 표정을 지었다. 내 말을 매우 반기는 표정이어서 도리어 당황스러웠다. 그녀는 처음으로 위로하듯 말했다.


“그래서 구원을 받으면 새로운 피조물로 살아가도록 은혜를 주시는 거예요. 누구든지 그리스도를 주로 시인하고 영접하면 새로운 피조물이 됩니다. 이전 것은 지나가고 새것이 됩니다.”


“헌 피조물이 새 피조물이 된다는 논리가…… 모르겠네요. 무엇을 전공했습니까?”


“성악을 전공했어요.”


“무슨 음악을 좋아하세요?”


“오페라 라보엠의 ‘안녕, 낡은 외투여!’라는 곡요. 라보엠의 내용을 아시겠지만, 친구의 사랑을 돕기 위해 낡은 외투를 전당포에 맡기며 부르는 노래예요. 예수님을 영접하면 이전의 낡은 죄의 옷을 벗고 새로운 생명의 옷을 입게 될 거예요.”


▶다음 회에 계속 …




김다은은 ‘당신을 닮은 나라’가 1995년 제3회 국민문학상을 수상하면서 소설가로 등단했다. ‘덕중의 정원’ ‘훈민정음의 비밀’ ‘쥐식인 블루스’ 등 20여권 소설책을 출간하고, 다수 번역돼 해외 소개됐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에서 주관한 폴란드 바르샤바대학 작가 레지던시를 비롯, 청송 객주 문학관, 정선 여량면 아우라지 레지던시, 해남 인송문학촌 토문재 레시던시에 참가했다. 이화여대 불어교육과를 졸업하고, 프랑스 파리8대학에서 불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추계예술대 문예창작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작권자의 허락없이 무단 부분 혹은 전체 전재,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