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 풀리는 사회 갈등…‘역할 1위’ 정부, 정작 신뢰도는 바닥

보건사회연구원, 분석 보니
사회 갈등 해결 주체 1위로 정부
신뢰도 절반↓…“갈등 해결 요원”

4일 오후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 인근에서 윤석열 즉각퇴진·사회대개혁 비상행동(비상행동)이 개최한 5차 시민대행진에서 참가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4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 인근에서 윤석열 대통령 지지 집회가 열리고 있다. 연합뉴스

우리나라 국민 상당수는 심한 사회 갈등을 풀 주체로 정부 역할을 가장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정작 국민의 정부에 대한 신뢰도는 민간 대기업보다 아래인 상황이다. 이 모순적인 상황을 풀지 못한다면 사회 갈등은 더 심해질 수밖에 없다는 경고가 나온다.


4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작년 11월 말 발표한 ‘사회갈등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 변화와 시사점’ 보고서에는 이 같은 분석이 담겼다.


보고서가 2023년 사회통합 실태조사를 분석한 결과 설문 참여 국민들은 사회갈등 해결 주체로 정부를 1위(56.01%)로 꼽았다. 2위인 국회와 정당(22.04%)과는 차이가 두 배를 넘는다. 이어 국민 개개인(9.16%), 언론계(4.45%), 시민·사회단체(3.34%) 순이다.


눈에 띄는 점은 기관별 신뢰도다. 1위로 꼽힌 정부의 신뢰도는 41.9%로 대기업(70.8%), 교육계(69.7%), 종교계(45.4%), 시민·사회단체(44.9%)에 이어 5위로 하락했다. 국회는 22.6%로 꼴찌였다.


보고서를 쓴 곽윤경 빈곤불평등연구실 삶의질연구센터 부연구위원은 “매우 모순적인 상황으로 우리 사회의 갈등 해결이 더욱 요원하고 어렵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우리 사회 갈등은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사회 갈등도는 2019년 2.88점에서 2023년 2.93점으로 높아졌다. 국민들은 남녀보다 진보와 보수 갈등이 매우 심각하다고 인식한다. 심지어 정치 성향이 다른 사람과의 교제 의향 설문에서 58.2%는 ‘정치 성향이 다를 경우 연애·결혼을 할 수 없다’고 답했다. 33.02%는 ‘친구·지인과 술자리도 할 수 없다’고 했다.


곽 부연구위원은 “다양한 소통 채널을 활성화하고 사회 통합에 도움이 될 갈등 관리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