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소아우울증 발생률이 꾸준히 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일시적인 감정기복이나 사춘기 행동 등으로 넘기면 아이의 몸과 마음 건강에 위험을 가져올 수 있다. 뉴스1에 따르면 국민건강보험공단 집계 결과 아동(6~11세)의 우울증 진료 건수는 2018년부터 2022년까지 5년간 92% 증가했다. 같은 기간 청소년(12~17세)의 진료 건수는 57% 늘었다. 소아청소년 5명 중 1명은 성인이 되기 전 1번 이상의 우울 삽화(일정한 기간 우울증 증상이 나타나는 것)를 겪는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우울증은 우울감과 의욕 저하를 주요 증상으로 가지는 정신과적 질환이다. 아동이나 청소년에게 발생하면 ‘소아우울증’으로 진단한다. 소아우울증은 식욕 저하, 불면증, 집중력 저하 등을 동반한다. 공부에 집중이 안 된다고 호소하거나, 이전에 즐기던 활동에 대한 흥미를 잃는 아이들도 많다. 서울대어린이병원 소아정신과에 따르면 소아우울증의 원인은 60%가 학업 스트레스나 가족·또래관계 등 환경적 요인이며, 나머지 40%는 유전적 요인이다.
특히 짜증이나 예민함이 늘고 주의력결핍행동장애(ADHD), 품행장애, 불안장애 등이 나타나면 사춘기와 우울증 증상을 혼동하기 쉽다. 소아우울증을 사춘기로 혼동하고 방치하면 성인까지 영향을 미치는 '만성 우울증'으로 발전할 수 있어 빠르고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
김재원 서울대어린이병원 소아정신과 교수는 소아우울증 예방을 위해 가장 중요한 수칙은 마음과 몸이 건강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라고 강조한다. 게임이나 휴대폰 대신 신체활동을 통해 휴식할 수 있는 시간과 공간을 마련해야 한다. 바쁜 교육 환경에서 부모가 나서 아이의 숨 돌릴 틈을 직접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설명이다. 이외에도 가정에서도 실시할 수 있는 우울 검사(PHQ-9) 등의 평가 도구를 통해 매년 정기적인 선별 검사를 실시하는 것도 병을 조기에 발견하고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