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월 11일 중국은 미사일을 발사해 지상 850km 상공의 자국 기상위성을 파괴하는 실험에 성공했다.
이번 실험의 성공으로 과거 냉전시대 미국과 구(舊) 소련 간에 경쟁적으로 개발되다 한동안 잠잠했던 우주전쟁이 다시 부각되기 시작했다.
조지 웰스의 소설 ‘우주전쟁’은 외계인의 지구 침공을 뜻했지만, 오늘날 우주전쟁은 우주를 배경으로 하는 인간끼리의 전쟁을 의미한다.
현대 우주전쟁의 핵심은 인공위성, 그중에서도 첩보위성이다. 현대전에서 첩보위성은 대단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우주전쟁에서 핵심이 되는 첩보위성은 1,000km 정도의 상공에서 돌며 지상을 관측한다. 상공을 돌다가 중요한 첩보 대상이 있으면 수백 km의 궤도로 내려와 지표를 수십cm 이내의 정밀도로 감시하고 다시 본 궤도로 올라가는 첩보위성도 있다.
어떤 첩보위성은 감시망을 피하기 위해 빛이 반사되지 않는 특수한 재질로 만들고, 특수 카메라를 달아 건물 내부까지 들여다볼 수 있도록 돼있다.
앞으로는 감시 기능에 그치지 않고 우주에서 지구를 공격할 수 있는 공격용 무기를 장착한 위성이 개발될 것이다.
우주에서 지상을 공격하는 미사일이 장착된 위성이 자국의 상공을 떠다니며 주요 군사시설을 정밀 타격한다고 생각하면 전쟁의 개념 자체가 달라진다.
상대국 입장에서는 이 같은 첩보위성의 존재가 성가실 수밖에 없다. 당연히 첩보위성을 격추하기 위한 위성파괴무기(antisatellite[ASAT] Weapons)들도 꾸준히 개발되고 있다.
이번에 중국이 성공한 위성 요격 실험에는 ‘날아가는 총알을 총알로 맞춘 것’보다 훨씬 더 정교한 기술이 필요했다. 800km 상공 어딘가에서 초속 수십km 정도로 비행하는 위성을 초속 1~2km 정도의 미사일로 격추한 셈이기 때문이다.
첩보위성의 경우 통신위성보다 더욱 낮은 궤도에서 돌기 때문에 로켓으로 타격하기 위해서는 더 높은 정밀도가 요구된다.
하지만 유도탄으로 위성을 파괴하는 기술은 새로운 기술이 아니다. 앞에서 밝혔듯 이미 미국과 소련은 1980년대 중반에 위성 요격 실험에 성공했기 때문이다.
중국은 이제 우주전쟁에 막 입문했다고 할 수 있다. 미국과 소련이 개발한 우주무기에는 소형 위성을 이용해 적 위성을 미행하다 자폭해 파괴하는 우주 기뢰도 있다. 최근 중국도 비슷한 개념의 기생 위성을 개발한 것으로 알려졌다.
기생 위성은 파괴하고자 하는 적 위성에 기생충처럼 근접해 비행하다 유사시에 적 위성을 파괴하는 위성이다. 이제 우주 감시는 단순한 연구 차원에서 벗어나 국방 차원으로도 준비되어져야 한다.
글_이태형 충남대 천문우주학과 겸임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