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감 방지하는 옷 나왔다

나노입자 특수 코팅으로 세균 박멸시켜 옷을 입는 것만으로 독감에 걸리지 않는 옷이 개발됐다.

특히 이 옷은 자동차 매연 속에서도 맑은 공기를 만들어 주며 스스로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때문에 빨래를 할 필요조차 없다.

만화에서나 나올 법한 이 같은 옷을 만들 수 있는 첨단 섬유가 최근 미국 코넬대학교 연구진에 의해 실제로 세상에 모습을 드러냈다.

군 화생방 관계자들의 집중적인 러브콜을 받고 있는 이 섬유를 개발한 주인공은 섬유공학과 학생인 후안 히네스트로사와 디자인학과 올리비아 옹으로서 천에 나노입자를 특수 코팅하는 방식으로 바이러스와 세균 박멸 능력을 부여하는데 성공했다.

독감방지 섬유의 핵심기술은 바이러스나 박테리아 크기에 불과한 5~20나노미터(nm)의 금속입자로 옷감을 코팅하는 것.

나노 크기의 금속입자는 면섬유의 표면에 달라붙게 되며, 특정 바이러스나 세균을 인식해 포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은이 그 대표적인 물질인데, 이렇게 항균·멸균성 나노입자로 코팅된 천을 가지고 옷을 만들면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속으로 침투하기 전에 옷의 나노입자들에 의해 깨끗이 멸균됨으로써 독감예방이 가능해진다.

특수한 성능을 지니고 있지만 겉보기에는 일반 섬유와 전혀 다를 바 없으며, 더러움을 덜 타기 때문에 세탁도 필요하지 않다.

단지 나노입자는 평균 400㎚인 가시광선의 한 파장보다도 훨씬 짧기 때문에 현재의 기술로 구현할 수 있는 옷감의 색깔이 빨강, 파랑, 노랑에 불과하다는 것이 단점으로 꼽힌다.

히네스트로사는 향후 나노입자를 섬유입자 주변에서 이동시켜 옷의 색깔을 바꾸는 방법을 개발 중에 있다.

이 기술이 성공하게 되면 아침엔 푸른색 셔츠를 입고 출근했다가 퇴근 후 파티에 참석할 때에는 셔츠에 자기장을 공급, 나노입자를 움직임으로서 붉은색으로 색깔을 바꿀 수도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