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핏줄, 누구와 더 가깝나?

중국 동북공정의 연구물인 '고대 중국 고구려 역사 속론' (2003년)에는 고구려인이 중국의 고대국가인 은나라와 상나라의 씨족에서 분리됐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국인과 중국의 한족은 혈연적으로 한 핏줄이란 얘기인데, 과연 그럴까.

지난 2003년 단국대학교 생물과학과 김욱 교수는 동아시아인 집단에서 추출한 표본을 대상으로 부계를 통해 유전되는 Y염색체의 유전적 변이를 분석했다.

이 결과 한국인은 주로 몽골과 동남부 시베리아 사람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 유전자형, 그리고 동남아시아 및 중국 남동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유전자형이 모두 발견됐다. 이는 한민족이 북방계와 남방계의 혼합 민족이라는 사실을 보여준다.

김 교수는 2006년 모계 유전을 하는 미토콘드리아 DNA도 분석했다. Y염색체가 아버지를 통해 아들에게만 전달되는 것과 달리 미토콘드리아 DNA는 어머니를 통해 아들과 딸 모두에게 전달된다. 더욱이 미토콘드리아 DNA는 돌연변이 비율이 높고, 교차가 일어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이 때문에 인류의 진화과정에서 일어나는 돌연변이 정보인 하플로타입을 분석해 조상을 추적해 낼 수 있다.

하플로타입이란 특이한 염기서열이나 여러 유전자들이 가깝게 연관돼 한 단위로 표시될 수 있는 유전자형을 가리킨다. 하플로그룹은 같은 미토콘드리아 DNA 유전자형을 가진 그룹으로 보면 된다. 한국인은 3명 가운데 1명 꼴로 몽골과 중국 동북부에 많이 분포하는 하플로그룹 D계통이 가장 많았다. 또한 전체적으로 한국인의 60%가량이 북방계, 40%가량은 남방계로 분류됐다.

유전적인 분화 정도를 통해 분석한 결과 한국인은 중국 조선족과 만주족, 그리고 일본인 순으로 가까웠다. 하지만 중국 한족은 베트남과 함께 다른 계통에 묶여 한국인과는 유전적으로 다소 차이를 보였다. 동북아시아에 속한 중국 북경의 한족은 한국인과 다소 비슷한 결과를 보였지만 중국 남방의 한족과는 유전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특히 만주족과 중국 동북 3성인 랴오닝(遼寧)·지린(吉林)·헤이룽장(黑龍江)에 살고 있는 조선족은 중국의 한족보다는 한국인과 유전적으로 더 가까웠다. 이 때문에 김 교수는 "과거 한반도와 만주 일대에서 활동했던 고구려인의 유전적 특성은 중국 한족 집단보다 한국인 집단에 더 가깝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최근 역사학계에서는 중국 한족을 물리치고 중원을 점령했던 금나라의 여진족(훗날 만주족)이 신라인의 후예라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금나라의 역사를 기록한 금사(金史)에는 "금 태조가 고려에서 건너온 함보를 비롯한 3형제의 후손이다" 는 대목이 나온다. 또한 금을 계승한 청나라의 건륭제 때 집필된 '흠정만루원류고'에는 금나라의 명칭이 신라 김(金)씨에서 비롯됐다는 내용도 등장한다.

청나라 황실의 만주어 성인 '아이신줴뤄' 중 씨족을 가리키는 아이신은 금(金)을 뜻한다. 이는 아이신줴뤄를 한자로 가차한 애신각라(愛新覺羅)에 "신라(新羅)를 사랑하고 기억하자"는 뜻이 담겼다는 가설을 뒷받침한다.

이 같은 결과로 볼 때 4,000~5,000년 동안 한반도와 만주 일대에서 동일한 언어와 문화를 발달시키고 역사적인 경험을 공유하면서 유전적으로 동질성을 갖는 한민족으로 발전했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만주에 살던 이들은 중국 황하 유역을 중심으로 발원한 한족과는 달리 한반도에 살던 이들과 깊은 혈연관계였음을 추정해 볼 수 있다. 나아가 금나라와 청나라를 세웠던 여진족과 만주족의 역사를 한국사에 새로 편입시켜야 할지도 모를 일이다.

글_서금영 과학칼럼니스트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