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은 선채로 소변을 본다. 이처럼 여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원거리 사격(?)을 해야 하기 때문에 공중화장실의 소변기를 이용할 때면 자신의 의지와 달리 소변이 소변기 밖으로 튀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물론 이는 악취의 원인이 되고 위생에도 좋지 않다.
전남 광양의 김 모씨는 지난 2001년 이 같은 상황을 최소화해 화장실 위생을 증진시킬 수 있는 소변기를 개발, 특허를 출원했다.
이 소변기의 특징은 내면 정중앙에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는 장치가 부착돼 있다는 점이다. 많은 남성들이 소변을 보면서 무언가 맞추기를 좋아한다는 심리를 감안, 소변으로 부착물을 맞추도록 유도해 흘림을 방지한다는 것.
부착물은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지만 출원인은 물레방아와 같이 소변에 맞았을 때 특정한 동작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이 좀 더 많은 남성들의 흥미를 끌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출원인의 주장대로 남성들의 심리를 볼 때 이 소변기가 보급되면 쾌적한 화장실 문화 확산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예견된다. 특히 이 아이디어는 부착물을 별도로 제작, 기존 소변기에 붙일 수 있어 비용적인 면에서도 부담이 적다는 게 메리트로 꼽힌다.
하지만 특허청은 이 특허의 등록을 거절했다. 출원인 이후에도 다수의 사람들이 소변기 및 양변기에 온도 변 색 스티커, 광고판 등을 부착하는 방식의 소변 흘림 방지 장치들을 출원했지만 하나 같이 쓴 잔을 들어야 했다. 결과론일지 모르지만 특허나 실용신안 권리를 주기에는 다소 전문성이 떨어졌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