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인간이 죽지 않고 흘릴 수 있는 땀의 최대량은?

각 개인의 체격, 체력, 체내 수분함량에 따라 다르다. 다만 놀랍게도 인간은 열사병에 걸려 의식을 잃기 전까지 한 양동이 이상의 땀을 흘릴 수 있다. 이러한 땀의 출처는 땀샘이다.

인체에는 약 300만개의 땀샘이 있으며 손바닥의 땀샘 밀도가 가장 높다. 이들 덕분에 일반적인 사람들도 고된 육체노동을 할 때 시간당 0.7~1.5ℓ의 땀을 흘린다. 활달한 사람이라면 땀의 양은 시간당 1.5~1.8ℓ로 높아진다.


철인 3종 경기 선수들의 경우 시간당 4ℓ의 땀을 흘릴 수 있으며 4만2.195㎞의 마라톤과 3.86㎞의 수영, 180㎞의 사이클을 타야 하는 세계아이언맨대회 참가자들은 대회기간 동안 1인당 평균 15ℓ나 되는 땀을 흘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 캐나다 퀄프대학의 운동생리학자 로렌스 스프리에트 박사는 발한(發汗) 작용에 의해 체중의 3~5%를 잃고 나면 동일한 운동 강도 하에서도 땀 배출량이 적어지지만 발한 작용이 멈추지는 않는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수분 보충이 계속되고 운동을 멈추지 않는다면 영원히 땀을 흘리는 것도 가능하다는 얘기다. 미국 코네티컷대학의 환경·운동생리학자 로렌스 암스트롱 박사 역시 수분 손실량에 상관없이 인체의 발한 작용은 중단되지 않음을 입증한 바 있다. 그의 연구에 의하면 시상하부가 땀샘에 신경자극을 보내는 한 인체는 계속 땀을 흘린다.

만일 체온이 올라가는데도 땀이 나지 않는다면? 그때는 정말 끔찍한 상태가 된다. 중심체온의 온도가 40℃를 넘어서면 인체는 단백질 변질이 일어날 수 있을 만큼 과열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인체의 세포 조직막에 이상이 생기면서 내용물(?)의 누출이 일어난다.

일례로 장(臟)에서 박테리아가 새어 나와 혈관에 유입되면서 쇼크가 오거나 혼수상태에 빠질 수 있다. 인체의 냉각을 유지해 이런 사태를 막는 것이 바로 발한의 목적인 셈이다.

이와는 반대로 수분 보충이 없을 때는 인체 내의 모든 수분이 다 없어질 때까지 땀을 흘릴 수도 있을까. 암스트롱 박사는 불가능하다고 단언한다. "그런 상황이 오기 전에 사람은 죽음을 맞을 것입니다. 죽지 않은 다음에야 그 같은 일은 벌어지지 않습니다."

파퓰러사이언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