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이 남자가 중국에서 돈 버는 법

[INTERVIEW] How He Makes Money in China


높은 수익률을 내는 매튜스 차이나 펀드 Matthews China Fund 의 리처드 가오 Richard Gao가 지금 소비자에게 베팅을 하고 있다. By Katie Benner

중국에 제대로 투자하는 방법은?


샌프란시스코에 본부를 두고 30억 달러 규모의 매튜스 차이나 펀드를 1999년부터 운영해 온 리처드가오(43)보다 이 질문에 더 잘 대답할 수 있는 투자 자는 없을 것이다. 지난 10 년간 MSCI 차이나 지수는 14.2%, S&P 500 지수는 1.4%의 연평균 수익률을 기록한 데 비해 가오는 19.7%의 수익률을 달성했다. 광저우 출신이고 한때 중국은행 Bank of China에서 대출 담당 및 트레이더로 근무했던 그는 매년 수 차례 중국을 방문한다. 급성장하는 중국 경제가 어떤 말썽을 일으키게 될지, 기회는 어디에 있다고 보는지 가오가 의견을 내놓았다.

Q. 중국 경제가 과열되고 있는 데 대해 어느 정도 우려하는가?

투자자들이 직면한 가장 큰 대중국 투자 리스 크는 부동산과 인플레이션(물가상승률)이고, 우리 또한 이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 하 지만 중국이 높은 인플레이션에 직면한 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1990년대 초 덩샤오핑 당시 주석이 경기 부양책을 시행하고 1~2년 후 경제 성장이 과열로 이어진 바 있다. 당시 인플레이션 은 높게는 22%까지 치닫기도 했다. 중국이 긴축정책을 시행하기까지는 여러 해가 걸렸다고 할 수 있다. 중국 정부는 2010년 물가상승률 목표치를 3%로 제시했는데 현재 상승률은 5%에 가깝다. 하지만 중국은 경기 연착륙을 위해 동원할 수 있는 수단이 많다.

Q. 중국 정부가 인플레 억제를 위해 위안화를 재평가할 거라고 보는가?

중국이 위안화 평가절상을 어떻게 다루느냐의 문제는 인플레이션과도 어느 정도 관련 있고, 그 자체로도 정책적 리스크다. 위안화가 큰 폭으로 절상되면 중국 경제, 특히 수출 관련 산업에 큰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항상 미미한 이윤을 남기는 완구나 제화 등 저가품 생산업체는 사라질지도 모른다. 수출로 창출된 부가가치 는 중국 GDP의 10~15%를 차지하고 있다.

Q. 부동산 쪽은 어떤가? 헤지펀드 매니저 짐 채 노스 Jim Chanos 같은 일부 전문가들은 부동산 이 거품일 뿐이라 경고한 바 있는데(포춘 코리아 2월호 166페이지 '채노스 vs. 중국' 기사 참조).


중국 부동산시장 전반이 거품이라는 의견에는 동의하지 않는다. 과열 현상은 대부분 동부 해안 도시 그리고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등 부유한 도시에서 나타나고 있다. 이런 도시에선 고 급 부동산의 가치가 급속도로 상승하고 있다. 이런 거품 현상이 기타 중소도시로 번지기 시작했지만, 부채 수준이 전반적으로 아주 낮다는 사실을 유념해야 한다. 법적으로 요구되는 계약금은 20%인데,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40~50%의 계약금을 치른다. 집값 상승이 둔화하거나 하락하더라도 사람들은 이미 상당 금액을 투자 했기 때문에 자신들의 집에 거주하면서 대출금을 갚아나가려 하게 된다.

관련기사



Q. 중국에 투자할 때 어디에 주안점을 두는가?

중국 경제성장이 수출에 기대온 것은 사실이지만, 우리는 수출업체나 주문자상표부착(OEM) 수출업체에는 많이 투자하고 있지 않다. 대신 내수에 집중하고 있는데, 중국이 사회주의 경제 체제에서 진정한 시장경제 체제로 변모해왔던 지난 20 년간 내수는 꾸준히 증가세를 보여왔다. 중국이 경제 개혁을 시작했을 당시 1인당 연 평균 소득은 370달러였다. 현재는 연 3,500달러에 가깝고 중산층이 놀라울 만큼 성장하고 있다. 세계 경제침체로 수출이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한 2008년에도 중국 내 소매판매액은 18% 정도 증가했다.

Q. 중국 소비자에 대해서는 어떻게 전망하나?

매튜스 차이나 펀드 설립 이후 우리는 소비자들의 소비패턴을 따라갔다. 초반에는 냉장고 같은 기본 필수품을 생산하는 회사에 투자했고, 이 어서 전화기나 자동차 제조회사에 투자했다. 중산층이 성장하면서 요즘은 서비스 분야에 주목하고 있다.

현재 우리는 경기 소비재, 필수 소비재, 금융 그리고 IT 등의 업종에 대한 투자 비중을 확대하고 있다. 소비자 공간 분야에선 호텔, 항공사, 백화점, 슈퍼마켓, 자동차 회사에 관심이 있고, IT 분야에선 소프트웨어, 온라인 게임 회사 그리고 통신장비 제조사를 선호한다.

현재 흥미로운 분야는 의료분야 health care다. 모든 사람이 의료 서비스를 필요로 하지만 모든 고용주가 이를 제공하지는 않는다. 또 의료분야는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의료분야에 투자하기가 까다로운 이유는 의료기기 제조사부터 처방의약품에 이르기까지 시장이 파편화되어 있고 가격 책정 면에서 정부의 규제가 강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핑안 Ping An이나 중국 인수 보험 China Life 같은 건강보험사에 투자하고 있다.

Q. 소비자 성장세를 잘 타고 있는 회사는 또 어떤 곳이 있나?

우리는 킹디 Kingdee라는 ERP업체에 5년 여간 투자해 오고 있다. 킹디는 선전 Shenzhen에 본부를 두고 중소기업을 위한 재무관리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회사다. 우리가 킹디를 찾아냈을 당시만 해도 시가총액이 2억~3억 달러에 불과한 작은 회사였지만 현재는 10억 달러를 넘어섰다. 당시 소프트웨어 필요성에 대해 많은 중소 기업과 얘기해 보았는데, 킹디라는 회사 이름이 자주 언급되었다. 알고 보니 킹디는 무려 40만 개 이상의 중소기업을 고객층으로 두고 있었다. 킹디의 모든 고객은 SAP나 IBM 같은 대형 ERP업체에선 신경도 안 쓸 법한 회사들이었다.

킹디는 중소기업들의 기본적 니즈를 충족시키는 제품을 저렴하게 제공하면서 시장에 진입했다. 그리고 고객들이 점차 늘어나면서 킹디 또한 인적 자원, 고객, 공급망 관리 소프트웨어 등 더 다양한 제품을 제공하기 시작했다.


FORTUNE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