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회생 확정 ‘팬택’ 벌써부터 인니 회사와 사업 협의

법원, 쏠리드·옵티스 인수승인

내년 '베가' 신제품 선보일 듯

회생 확정 ‘팬택’ 벌써부터 인니 회사와 사업 협의

서울중앙지법 개최 관계인집회서 인수 승인, 회생절차 사실상 종료


인니 통신기업 ‘핀스’와 ICT 협업 논의, 재기의 첫발 내디뎌

내년 ‘베가’ 브랜드 스마트폰 출시하고 IoT 신사업으로 재기 모색할 듯

쏠리드-옵티스 컨소시엄의 팬택 인수가 지난 8일 인수대금 잔금 납부에 이어 16일 관계인집회에서 인수 내용을 승인 받음에 따라 최종 마무리됐다.


특히 팬택은 관계인집회 후 인도네시아 통신서비스 기업 ‘핀스(PINS Indonesia)’와 스마트폰 및 정보통신산업(ICT)에서의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본격적인 사업 실행에 착수했다.

관련기사



서울중앙지방법원 파산3부(부장판사 이재권)는 16일 오후 팬택 채권자 등이 참석하는 관계인집회를 열고 쏠리드-옵티스 컨소시엄의 팬택 인수를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팬택은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에 돌입한 지 1년 만에 새 주인을 맞아 재기의 발판을 마련하게 됐다. 관계인집회에서는 팬택이 신설법인을 만들어 컨소시엄에 매각하는 내용이 승인돼 법적인 절차는 사실상 종료됐다.

팬택은 또 이날 인도네이사 통신서비스 기업 핀스와 비즈니스 파트너십과 관련해 구체적인 사항들을 협의하는 등 본격적인 재기의 행보에 나섰다. 팬택에 따르면 이날 오후 메가와티 전 인도네시아 대통령과 핀스 관계자들이 성남 판교의 쏠리드 사옥을 방문해 사업과 관련 논의를 진행했다. 인도네시아 시장 내 비즈니스 역량을 강화한다는 계획에 따른 것이다. 정준 쏠리드 대표는 “뉴 팬택은 인도네시아 시장을 주목하고 있으며, 모바일 및 사물인터넷(IoT) 시장을 중심으로 회생의 청사진을 그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업계에서는 팬택이 이르면 내년 상반기 새 제품을 선보일 것으로 보고 있다. 컨소시엄이 국내 시장 재기를 위해 팬택의 베가 브랜드 상표권을 인수한 데 따른 것이다. 즉 어느 정도 인지도를 갖고있는 베가 브랜드를 단 제품을 내놓고, 동시에 IoT 기술이 적용된 웨어러블 기기와 같은 신사업으로 승부를 걸 것이라는 얘기다. 다만 팬택은 고용 승계된 500명 외에 추가 인력 구조조정은 단행하지 않을 것으로 알려졌다.

팬택은 지난 1991년 박병엽 전 부회장이 무선호출기 사업을 위해 창업해 한때 국내 스마트폰 점유율을 14%까지 끌어올리며 LG전자를 제치고 국내 2위를 차지했다. 그러다 세계 휴대폰 시장이 스마트폰 중심으로 급격히 재편되면서 경영난에 빠졌고, 2014년 8월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이후 세 차례나 매각이 무산된 끝에 지난 5월에는 법정관리 철회 신청을 하며 벤처신화가 무너지는 것 아니냐는 아쉬움을 샀었다. 하지만 6월 쏠리드-옵티스 컨소시엄이 극적으로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7월 본계약을 맺으면서 팬택은 청산에서 회생으로 극적인 반전을 이뤘다.

권대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