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김용환 자민련총재] 홀로서기 '글쎄'

내각제 연내 개헌이 물건너 감에따라 「내각제 전도사」「JP의 복심」인 자민련 김용환 수석부총재의 행보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金부총재는 김종필 총리의 최측근이면서도 내각제 문제가 불거진 후 자민련내의 반JP 흐름을 주도하는 중심에 자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청와대와 국민회의가 주도하는 신당창당설이 구체화되면서 金부총재의 선택은 정국흐름의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金부총재는 최근 김용채 총리비서실장이 수차례 전화를 걸어 金총리와 만날 것을 제의했으나 응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金부총재가 지난달 25일 지역구인 보령에서 후원회를 개최하면서 『성을 지키는 장수가 자신만 빠져나가면 장수를 추종하는 많은 병사들은 어떻게 되느냐』며 金총리의 내각제 개헌 유보 결정을 거듭 비난하고 나선 것도 눈여겨 볼만한 대목이다. 金부총재는 이어 『JP는 당으로 돌아와 내각제 관철을 위한 선봉에 서야 한다』며 JP의 당 복귀를 촉구한뒤 『나는 당을 절대로 떠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해 독자노선쪽에 비중을 두고 있음을 시사했다. 자민련내에서도 상당수 충청권 의원들이 JP를 따를 것인지 아니면 지역정서와 내년 총선을 의식, 자민련 간판을 지킬지 저울질하고 있다는 점도 金부총재의 독자행보를 가능케 하고 있다. 그러나 정치는 살아있는 생물이라는 점에서 상황전개에 따라 金부총재가 JP에게 돌아설 가능성은 항상 열려있다는 게 정치권의 분석이다. 당장은 金부총재가 내각제 관철이라는 명분을 내세워 JP를 압박하고 있지만 金부총재의 홀로서기가 한계에 달하거나 JP가 어떤 식으로든 내각제 개헌 의지를 다시 천명할 경우 金부총재는 다시 JP와 손을 잡을 수 있다는 것이다. 결국 두 사람은 당분간 냉각기를 가진뒤 내각제 유보를 둘러싼 당내 분란이 진정국면에 접어드는 대로 독대를 통해 앞으로 정국구상에 관한 서로의 의중을 타진, 최종 입장을 정리하는 절차를 밟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박민수 기자 MINSOO@SED.CO.KR

관련기사



박민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