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환경기초시설 “떠오르는 황금시장”/대기업 진출 붐

◎정부 대대적 민자유치… 각종 인센티브 건설·운영사업 앞다퉈/하수처리장·소각장 등 1∼2조 규모 전망최근 정부가 하수처리장·소각장 등 환경기초시설을 민자로 건설하거나 운영하는 업체에 대해 각종 인센티브를 주기로 함에 따라 대기업들이 본격적으로 참여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11일 환경부에 따르면 대우, 해태건설, 진로건설, 아쿠아텍 등 10여개 업체가 환경기초시설의 민자유치 건설사업에 참여 의향을 보이고 있으며 대우·동부건설 등은 시설운영에 뛰어들 채비를 갖추고 있다. 대우는 수도권 등에 소각로를 세울 계획을 가지고 있으며 해태건설과 진로건설, 방지시설전문업체인 아쿠아텍 등은 각각 50억∼1백억원대의 하수처리장 건설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 시설 운영분야의 경우 동부건설은 환경관리공단이 3년 전부터 운영하던 2백톤 규모의 평촌소각장을, 대우는 2백톤 용량의 부천 소각장을 각각 운영키로 하고 현재 해당 시도와 협의 중인데 12월부터 직접 운영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또 한불에너지는 처리능력 8백톤 규모의 상계동 소각로를 시운전하고 있다. 기업들이 이같이 환경기초시설 시장에 앞다퉈 뛰어들고 있는 것은 시장규모가 1조∼2조원으로 잠재성이 크며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기술축적의 좋은 기회가 되는데다 최근 환경부의 민자유치 활성화 대책으로 사업여건이 좋아졌기 때문이다. 환경기초시설의 민간운영방식과 민자유치법은 지난 94년 도입됐으나 하수도 사용료·폐기물 수거·처리료 등이 운영비의 30∼50% 수준에 머물러 사용료만으로는 수익성확보가 어렵고 부대사업이 거의 없는데다 주민들의 님비현상 등으로 사업추진이 어려워 그동안 제도 자체가 유명무실해진 상황이다. 이에따라 환경부는 최근 민간 참여 활성화를 위해 ▲일정수준의 수익성 보장 ▲요금징수업무 지자체 대행 ▲국고 50% 보조유지 등을 민자유치법 개정시 포함시키기로 했다. 한편 환경부는 오는 21일 서울건설공제회관에서 시도 환경공무원, 환경관련업체, 도급순위 50위 이내 대형건설회사 민자유치담당 임원, 민간단체 대표 등이 참가한 가운데 공청회를 개최하는 것을 비롯, 29일까지 5대 광역시에서 공청회를 개최할 예정이다.<연성주>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