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로터리] 정책 일관성과 기업


올해는 필자가 기업을 경영한지 21년째가 되는 해다. 직원 5~6명 남짓 하는 작은 기업에서 지금의 코스닥 상장사로 성장하기까지 수많은 우여곡절을 겪어왔다. 매출 걱정에 밤을 지새기도 했고, 직원들이 하나 둘씩 떠나는 것을 지켜볼 수밖에 없던 시절도 있었다.

하지만 모든 경영자들이 그러하듯 위기와 역경을 하나씩 해결하며 경영자와 직원들의 노력과 열정으로 기업의 성장을 함께 이끌어 갈 때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보람과 자부심을 느끼게 된다. 이는 노력한 만큼 결과를 얻었을 때 느낄 수 있는 당연한 이치이며 이러한 정신이 확산돼야 기업하기 좋은 여건이 조성되는 것일 터이다. 다만 기업 경영자와 직원들이 아무리 열정과 노력을 기울여도 성과를 낼 수 없는 상황이 있다. 이는 바로 정부 정책에 따른 기업 환경의 조성이다.


얼마 전 정부 정책에 따라 재난안전망 사업에 참여한 기업들이 생존의 위협을 받고 있다며 청와대에 탄원서를 제출한 적이 있다. 이들은 지난 2003년 정부의 정책으로 재난안전망 사업을 시작했고 정부의 추진 정책을 믿고 수년간 관련 기술을 개발했다. 그러나 정책변화에 따른 사업 중단으로 관련 기업들이 고사 상태에 빠졌다는 것이다. 정부는 이 사업에 대해 일부 대기업에 투자를 권고했지만 관련 시장 규모가 크지 않아 국내 대기업들은 독자적인 시스템 개발을 포기했고 현재 관련 사업자들은 중소기업이 대부분이다. 중소기업은 경영적 환경으로 대기업처럼 다양한 사업 분야를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되지 않아 한가지 사업의 존폐에 따라 기업의 생존이 좌지우지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관련기사



재난안전망은 경찰ㆍ소방ㆍ의료 등 정부의 주요 기관들이 평상시에는 각 기관의 고유 업무용으로 사용하다가 테러나 재난ㆍ재해가 발생했을 때 재난 관련 기관이 하나로 통합된 무선통신망을 활용하는 것이다. 각 기관 간의 일사불란한 연락을 가능하게 해 국민의 재산ㆍ인명 피해를 최소화하겠다는 목적으로 2003년부터 진행되다가 2008년 감사원의 처분요구로 현재까지 진행이 중단되고 있다.

과거에 비해 전세계적으로도 예측 불가능한 재난ㆍ재해의 발생이 더욱 빈번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국민 개개인이 예방할 수 없는 안전에 대해 정부의 역할은 중요해지고 있으며, 국민 한 명 한 명의 생명과 재산이 소중한 만큼 재난안전망은 필수적 요소가 되고 있다.

기업의 규모와는 상관없이 모든 경영자들은 노력한 만큼 결실을 맺을 수 있는 '기업할 맛나는 국가'를 원한다. 정부의 합리적이고 일관된 정책 수립이라는 든든한 뿌리가 있는 한 우리 기업들은 기술개발, 도전정신 함양, 무한한 열정이라는 가지를 뻗어 풍성한 나무로 커나갈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