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마약탐지등 수행 특수견 정부 차원서 효율적 관리

마약탐지견과 군견, 폭발물 탐지견, 인명구조견 등 정부 특수견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행정안전부는 20일 정부중앙청사에서 국방부ㆍ농림수산식품부ㆍ관세청ㆍ경찰청ㆍ소방방재청ㆍ농촌진흥청과 정부 특수견 효율적 운용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앞으로 각 부처는 특수견을 안정적으로 육성하기 위해 수급 관리 체계를 정비하고 유전자 연구 정보나 훈련 정보를 교환하며 훈련 시설과 진료시설을 공동 활용하게 된다. 국방부는 대학병원 수준의 의료 시설과 수중ㆍ헬리콥터 탑승 등 특수 훈련시설을 공유하고 관세청은 탐지견의 출생부터 은퇴까지 이력관리 프로그램과 훈련 시설물을 제공한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은 특수견 유전자와 질병, 번식과 보급 체계를 연구하고 친환경 사료를 개발한다. 현재 정부에는 국방부 순찰견과 수색견, 농식품부 검역견, 관세청 마약탐지견, 경찰청 폭발물탐지견, 소방방재청 인명구조견 등 1,409마리가 각 부처별로 개별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행안부의 한 관계자는 “공인 구조견 한 마리를 키우려면 훈련기간이 3~4년, 비용이 2억원에 달한다”며 “부처 간 협조를 통해 특수견 훈련 합격률을 25%에서 85% 이상으로 높이고 비용을 30% 수준으로 절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