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MB, 국정원 감싸기

정치권, 원세훈 원장 교체 요구에 "정부에 맡겨달라"는 말로 비켜가<br>現상황 경질 곤란·인물난 겹친듯

이명박 대통령이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사망 사실을 파악하지 못한 국가정보원을 감싸고 있다. 야당은 물론 여당에서조차 교체 요구가 잇따르고 있지만 "정부에 맡겨달라"는 말로 비켜가고 있다. 무너진 대북 정보 체계에 1차적 책임이 있는 원세훈 국정원장이 야당과 여당 모두로부터 '동네 정보원'이라는 비난을 받으며 궁지에 몰리고 있다. 전일 원혜영 민주통합당 공동대표는 아예 대놓고 교체 요구를 했고 박근혜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장도 우회적으로 문제 제기를 했다. 하지만 이 대통령은 "김 위원장 사망은 세계가 다 몰랐다"며 "정부에 맡겨달라"고 말해 오히려 원 원장을 감싸고 도는 듯한 발언을 하며 교체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 대통령은 정치권이 정보력 취약을 지적한 데 대해서도 "우리 정보력이 걱정하는 대로 취약하지 않다"고 설명하면서 "우리와 미국 정부가 정보를 대단히 잘 공유하고 있다. 미국도 우리 정보가 유용하기 때문에 서로 간에 협력이 이뤄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이 문책 요구가 비등한 원 원장을 감싸는 이유는 일단 시기적으로 국가 정보를 책임지고 있는 국정원장을 경질하기가 곤란하다는 현실적인 문제 때문이다. 오는 28일 김 위원장의 장례와 29일까지의 애도기간, 그리고 내년 김일성 주석 탄생 100주년, 강성대국 원년 등 북한의 대변화가 예고된 상황에서 정보기관의 수장을 교체하는 것이 우선 적절하지 않다는 것이다. 특히 현 상황에서 국정원장을 교체할 경우 정부 스스로 정보력 부재를 인정하는 셈이 된다는 점도 고려된 것으로 보인다. 이 대통령의 깊은 속내에는 역시 인사 문제가 있다. 정권말기인데다 내년 총ㆍ대선을 치러야 하는 상황에서 원 원장과 같은 로열티를 지닌 인물을 고르기도 힘들 뿐만 아니라 있지도 않기 때문이다. 임태희 대통령 실장 후임으로 원 원장이 고려됐을 때도 마땅한 국정원장 후임이 없어 안 됐다는 후문이 들릴 정도다. 물론 측근 중 최시중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등이 있기는 하지만 인사청문회라는 변수에 쉽게 선택할 수도 없다. 결론적으로 교체하려 해도 뾰족한 대안이 없는 셈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