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그린벨트] 해제후 땅값전망.. 수도권 최고 50%까지 오를듯

27년여만에 이뤄지는 그린벨트의 전면조정은 해당지역뿐만 아니라 하반기 수도권을 중심으로한 토지시장에도 가격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전망이다.부동산업계는 이번 그린벨트 조정이 경기회복에 따라 땅 값이 상승세로 돌아선 시점과 맞물려 있어 토지시장 전반에 대한 수요로 이어질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수도권지역 그린벨트 토지의 상당부분이 외지인들 소유라는 점을 감안할 때 이들이 보유한 땅을 팔아 차익을 남길 경우 이 자금은 다른 토지의 매입으로 옮아갈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부동산 컨설팅업체 관계자는 『서울지역 주변 구리, 광명, 의왕, 하남시 등의 그린벨트해제 지역은 땅값이 현재수준보다 최고 50%까지 오를 것』며 『「땅에 들어온 자금은 땅에서 돈다」 부동산 속설처럼 이러한 땅을 판 자금은 다시 토지구매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정부의 대대적인 투기단속을 공언하고 있는데다 중·장기적인 측면에서는 그린벨트 해제가 개발가능한 토지공급을 늘린다는 긍정적인 용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커 과거와 같은 땅값 폭등현상은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견해다. 지방의 경우 그린벨트가 전면해제되더라도 부동산경기가 워낙 위축돼있어 규제가 풀리는 해당지역외에는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을 전망이다. LG경제연구원 김성식(金聖植)연구위원은 『이미 수도권 그린벨트지역 땅값은 한단계 오른 상태고 지방은 그린벨트가 해제되더라도 수요를 찾기 어려워 땅값이 급격히 오르기는 어려울 전망』이라며 『규제가 풀리는 그린벨트내의 땅값은 사용가치가 높아진다는 면에서 어느정도의 가격상승은 당연한 것』이라고 진단했다. 또 수도권 외곽지역의 경우 오히려 이번 그린벨트 해제조치로 인해 땅값이 떨어질 것이라는 견해도 제기되고 있다. 토지전문중개업소인 녹산부동산 김근영 사장은 『수도권내의 토지공급이 한계에 달함에 따라 외곽지역인 양평, 가평 등지의 전원주택지가 인기를 모았다』며 『이번 그린벨트 해제로 수도권내에서 환경좋고 교통편리한 곳에서 주택지가 공급될 경우 이들지역의 수요는 위축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이학인 기자 LEEJK@SED.CO.KR

관련기사



이학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