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저축銀중앙회 이사직 싸고 신경전

중앙회 이사직 배정문제 놓고 신경전<br>금융권 "위기 불구 도덕적 해이 여전" 눈총



저축은행 업계가 새로 구성되는 저축은행중앙회 이사회의 이사직을 놓고 자리다툼을 벌이고 있다. 잇단 영업정지 사태로 업계가 생존의 위기에 처했음에도 저축은행들은 밥그릇 싸움만 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6일 금융계에 따르면 저축은행 서울지부와 인천ㆍ경기지부는 이사 자리를 누가 더 차지하느냐를 놓고 신경전이 한창이다. 관련법 개정으로 저축은행 업계의 주요사항을 결정하는 저축은행중앙회 이사회는 오는 4월1일 출범한다. 이사회는 회원이사 8명과 전문이사 2명, 저축은행중앙회장과 전무이사가 구성원이다. 논란이 되는 것은 회원이사 8개 자리 가운데 지역지부별 할당 몫을 제외한 여분의 2개. 6개는 ▦서울 ▦인천ㆍ경기 ▦부산ㆍ울산ㆍ경남 ▦대구ㆍ경북ㆍ강원 ▦광주ㆍ전남ㆍ전북ㆍ제주 ▦대전ㆍ충남ㆍ충북 등 6개 지역지부가 하나씩 나눠 갖기로 합의를 봤다. 그러나 남은 두 자리에 대해서는 서울과 인천ㆍ경기지부의 생각이 다르다. 서울 측은 두 자리 모두 서울 쪽에서 맡아야 한다고 하는 반면 인천ㆍ경기는 서울과 인천ㆍ경기가 하나씩 차지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저축은행장들은 이와 관련해 지난 2일 이사자리 배정 문제 등을 논의했다. 저축은행 업계의 한 관계자는 "대형 저축은행들이 앞으로 자신의 입맛에 맞도록 일처리를 하기 위해 이사자리를 놓고 자리다툼을 벌이고 있다"며 "저축은행 위기가 심각한데 무슨 일을 하는 건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지난해 말 현재 예금액으로 따지면 서울은 전국의 약 46.3%(35조5,930억원), 인천ㆍ경기는 약 23.3%(17조9,150억원)로 시장점유율 1, 2위를 차지했다. 신설되는 이사회는 중앙회의 사업계획과 예산확정, 회원 징계, 업무방법서 제정 및 변경 등을 의결하는 강력한 권한을 가진다. 저축은행 업계에서는 "당연한 권리를 놓고 의견차이가 있을 뿐"이라고 해명하지만 이에 대한 금융권의 시각은 싸늘하다. 금융권의 한 고위관계자는 "정부가 나서 구조조정과 지원을 하는 판에 이사자리를 놓고 싸우는 것은 도덕적 해이"라며 "업계에 오래 몸담았던 분이나 명망이 높은 사람을 이사로 추천하는 것이 대안이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