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론스타 때문에…" 답답한 당국

하나 외환銀 인수 최대 변수인 론스타 재상고 여부 알길 없고<br>자칫 또다른 소송 빌미 줄수도


금융 당국이 외환은행의 대주주인 론스타 때문에 애를 태우고 있다. 하나금융의 외환은행 인수에 결정적 변수가 될 론스타의 재상고 여부를 알려 해도 접촉이 제대로 되지 않는데다 혹여 잘못 접촉했다가 론스타에 또 다른 소송의 빌미가 될지 우려하는 탓이다. 국내 금융회사에서는 호랑이 노릇을 하는 금융 당국이 론스타 앞에만 서면 오그라드는 형국이다. 11일 금융 당국과 금융계에 따르면 외환은행 대주주인 론스타는 13일까지 재상고 여부를 확정해야 한다. 론스타가 재상고를 결정할 경우 금융위원회는 강제매각명령 등 행정 조치를 취하는데 딜레마에 빠지게 된다. 다음달 말로 유효기간이 끝나 기한이익이 상실되는 하나금융의 외환은행 인수를 승인해주기 위해서는 론스타에 대한 확정 판결이 나와야 하는데 재상고가 이뤄질 경우 재판이 또다시 장기전으로 빠져들기 때문이다. 당국으로서는 확정 판결이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강제매각명령 등의 조치를 취하기가 쉽지 않다. 금융위는 이미 사법 당국의 판결이 나오지 않았다는 이유로 하나금융의 인수 승인을 미뤄오면서 이른바 '변양호 신드롬'이라는 비판을 들어왔다. 문제는 이 경우 자칫 하나금융의 인수 작업 자체에 빨간불이 켜지고 최악의 경우 딜이 깨질 수도 있다는 점. 이 때문에 당국은 론스타의 '동선'을 조금이라도 일찍 파악해야 대응을 할 수 있는데 좀처럼 론스타의 의중을 알 수 없다고 토로한다. 당국의 한 관계자는 "론스타 측에 직접 연락할 경우 괜스레 오해를 불러 소송의 빌미를 줄 수 있다"며 "우회적으로 파악해보려 하지만 그 또한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금융 당국은 특히 론스타에 대한 여론이 워낙 좋지 않은 터여서 외환은행 쪽과의 사적 접촉도 삼가하고 있다. 한 관계자는 "론스타는 물론이고 외환은행 사람들과의 약속도 최대한 자제하는 형편"이라고 설명했다. 당국으로서는 이래저래 론스타가 깔아놓은 '덫'에 빠져 있는 모습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