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루비니 "QE 축소 한국경제 도움 줄 것"

현오석 부총리와 면담<br>출구전략은 미국 회복 의미<br>교역규모 큰 한국 긍정적

'닥터 둠'으로 불리는 월가의 대표적 비관론자 누리엘 루비니 미국 뉴욕대 교수는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가 오히려 한국경제에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했다.

루비니 교수는 4일 현오석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면담한 자리에서 미국의 통화정책 정상화 방침과 관련, "양적완화 축소는 미국경제의 회복을 의미하므로 대미 교역규모가 큰 한국경제에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미국 금리인상에 따른 미국으로의 자본 재유입과 달러화 강세도 한국 수출에는 긍정적 요인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중국 경제와 관련해서는 "중국이 국제 금융위기 이후 경기부양을 위해 과도한 고정자본투자를 해왔으나 이는 지속 가능하지 않다"며 "향후 중국경제는 경착륙과 연착륙의 중간인 6∼7%대의 성장률을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관련기사



일본 아베노믹스와 관련해서는 "재정투입을 통한 경기대응은 대체로 효과적이었지만 국가채무가 과다한 상황에서 구조개혁을 통한 잠재성장률 제고 없이는 효과가 지속 가능하지 않다"고 꼬집었다.

루비니 교수는 "고령화와 (국민)연금 등에 따른 재정부담이 한국경제에 주요한 도전 요인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현재 한국이 재정건전성을 비교적 잘 유지하고 있지만 고령화가 급속히 진전되고 있는 상황에서 국민연금이 고갈될 경우 막대한 재정부담 요인이 될 것이라는 지적이다.

현 부총리는 이에 대해 "고령화에 따른 재정부담이 불가피한 측면이 있지만 복지전달체계 개편과 정년연장, 일을 통한 복지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관리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루비니 교수는 지난 4월 추가경정예산 편성으로 인한 정부의 확장 재정정책이 경기회복에 기여했다고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면서 최근 원화강세에 대한 한국정부의 대응에 관심을 보였다.


서일범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