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영화 1편 받는데 28초… 3배 빠른 LTE 온다

SKT 광대역 LTE-A<br>기술시연 첫 성공<br>내년 하반기 상용화

SK텔레콤 광고 모델인 f(x) 설리(왼쪽)와 소녀시대 윤아(〃두번째)가 28일 경기도 분당 SK텔레콤 정보통신기술원에서 열린‘광대역 LTE-A 시연회’ 에서 서비스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제공=SK텔레콤

"800메가바이트(MB) 영화 1편을 내려 받는데 기존 LTE로는 1분25초 걸리지만 광대역 LTE-A를 이용하면 28초만에 가능합니다."

내년 하반기 롱텀에볼루션(LTE)보다 3배 빠르고, 광대역 LTE와 롱텀에볼루션 어드밴스드(LTE-A)보다는 1.5배 빠른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가 상용화 된다.


SK텔레콤은 28일 경기도 성남 분당사옥 정보통신기술(ICT)원에서 주파수집적기술(CA)를 적용한 '광대역 LTE-A' 기술 시연회를 열었다. 국내에서 광대역 LTE-A 시연에 성공한 것은 SK텔레콤이 처음이다.

이날 새로 선보인 기술은 1.8기가헤르쯔(GHz) 대역 20메가헤르쯔(MHz)주파수 블록과 800MHz 대역 10MHz 블록을 CA로 묶은 것이다. 다운로드 기준 최대 초당 225메가비트(Mbps) 속도를 구현한다. 기존 LTE는 최대 75Mbps이며, LTE-A는 150Mbps다.


SK텔레콤은 내년 하반기 중 광대역 LTE-A 서비스를 상용화할 계획이다. 800MB 영화 1편을 다운로드하는데 3세대(3G)는 7분24초, LTE 1분25초, LTE-A의 경우 43초가 소요된다. 하지만 이번 기술이 상용화 되면 28초 만에 다운로드가 이뤄진다. 최진성 SK텔레콤 ICT기술원장은 "SK텔레콤이 2세대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세계 최초 상용화 이후 무선 네트워크를 선도해왔다"며 "3배 빠른 광대역 LTE-A의 최초 시연에 성공한 만큼 225Mbps는 물론 300Mbps 속도 시대도 앞당길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하지만 광대역 LTE-A를 상용화하기까지는 넘어야 할 과제가 있다. 단말기에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칩셋 개발이 선행돼야 하는데 아직 개발되지 않은 상태다. 업계에서는 내년 3ㆍ4분기는 돼야 칩셋 개발이 완료될 것으로 보고 있다.

SK텔레콤은 광대역 LTE-A의 상용화가 이뤄지면 모바일 기반 영상 콘텐츠 이용이 더 활성화되고, 모바일 콘텐츠의 초고화질화 추세에도 불을 붙일 것으로 전망했다. 광대역 LTE-A가 데이터 전송 속도를 향상시킬 뿐 아니라 이용 가능한 무선 네트워크의 용량 자체를 키워주기 때문이다. 실제로 SK텔레콤 T스토어에서 다운로드 된 콘텐츠 가운데 주문형비디오(VOD)의 비중을 보면 2011년 17%에 불과하던 것이 지난해 30%, 올해 37%로 증가추세다.

SK텔레콤은 나아가 최대 300Mbps 속도를 서비스하는 '3밴드(band) LTE-A'의 도입도 추진 중이다. 이는 3개 주파수 대역을 CA 방식으로 한데 묶는 것으로 SK텔레콤은 내년 중 기술 개발을 완료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KT와 LG유플러스도 3배 빠른 서비스 상용화 시기를 내년으로 잡고 있어 이통3사간 경쟁이 치열해 질 전망이다.

권대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