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수도권 아파트 매매 시가총액 8·29대책 이후 되레 줄어

5개월새 1조3,269억 감소<br>전세 시가총액은 34조 급증

정부의 8·29대책 이후에도 아파트 매매시장은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여전히 약세를 보이고 있다. 입주 물량이 늘어나면서 가격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는 고양시 아파트 단지 전경.

실수요자의 총부채상환비율(DTI) 완화 등을 골자로 한 8ㆍ29대책 이후 5개월 동안 수도권 아파트의 매매 시가총액은 감소하고 전세 시가총액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파트 값은 강남권 등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대책 발표 후 게걸음을 한 반면 전셋값은 큰 폭으로 상승한 까닭이다. 5일 부동산114의 조사에 따르면 2월 현재 수도권 아파트 시가총액은 총 1,360조8,796억원으로 지난해 8ㆍ29대책 발표 직전의 1,362조2,065억원에 비해 1조3,269억원 감소했다. 경기도가 8ㆍ29대책 전 558조5,453억원에서 현재 557조652억원으로 1조4,801억원 감소했고 인천시도 97조7,804억원에서 현재 97조1,484억원으로 6,320억원 줄었다. 서울은 현재 706조6,660억원으로 8ㆍ29대책 이전(705조8,808억원) 대비 7,852억원가량 늘었지만 전체 25개 구 가운데 강남권 3개 구와 강동구ㆍ양천구 등 9개 구를 제외한 나머지 16개 구는 줄었다. 이는 8ㆍ29대책 이후 아파트 매매 수요가 늘기는 했지만 여전히 일부 지역에 국한돼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 경기도는 31개 시군 중 화성시와 용인ㆍ오산시 등 8곳이 늘었고 여주군 등 3곳은 보합, 고양ㆍ성남시 등 9곳은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인천시는 상승한 곳 없이 보합인 강화군을 제외한 나머지 8곳 모두 시가총액이 줄었다. 다만 전국 아파트의 매매 시가총액은 부산ㆍ경남 등 지방 아파트 값의 강세로 8ㆍ29대책 직전의 1,804조원에서 현재 1,820조원으로 16조원가량 늘었다. 반면 전세 시가총액은 수도권 전 지역이 상승했다. 2월 현재 수도권 전세 아파트의 시가총액은 약 599조원으로 대책 발표 전 시가총액(565조원)보다 34조원 증가했다. 이 가운데 서울의 시가총액은 대책 발표 전 279조원에서 현재 294조원으로 15조원, 경기도는 242조원에서 260조원으로 18조원 각각 늘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