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항생제 장염환자 5년 새 1.6배 늘어

세균 치료에 쓰는 항생제로 발생되는 장염환자 수가 매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유선 인제대 서울백병원 소화기내과 교수팀은 전국 17개 대학병원과 대한장연구학회가 공동으로 2004~2008년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역학조사를 벌인 결과 항생제 사용에 따른 '항생제 연관 장염(CDI)' 환자 수가 5년 새 1.6배 증가했다고 18일 밝혔다.

입원환자 1만명당 환자 수는 2004년 17.2명, 2005년 20명, 2006년 21명, 2007년 24명, 2008년 27.4명 등으로 매년 꾸준히 늘었다.


또 연구팀이 2008년 항생제 연관 장염환자 1,367명을 분석한 결과 종류와 상관없이 거의 모든 항생제가 장염을 유발했으며 광범위 항생제인 세팔로스포린(41.2%)과 퀴놀론(12.9%) 제제가 각각 1ㆍ2위를 차지했다.

관련기사



장염은 평균적으로 항생제 사용 후 4~6일이 지나 발병했으며 대표적 증상인 설사는 3일에서 최장 10일까지 지속됐다. 또 복통과 발열, 백혈구 증가, 저알부민혈증 등의 증상이 동반되기도 했다.

항생제 처방으로 장염이 발생하는 이유는 항생제가 장내의 정상 세균도 함께 파괴해 감염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이런 장염은 건강한 사람에게는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장기입원 환자나 악성종양 환자, 최근 수술환자, 위장관 수술환자, 면역억제제 투여환자, 65세 이상 고령의 환자 등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김 교수는 "항생제 사용 이후 설사 등의 증상이 있을 때는 항생제 사용을 중단하고 장염 발병 여부를 우선 확인한 뒤 적절히 치료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영국에서 발행되는 국제학술지 '감염역학(Epidemiology and Infection)' 최근호에 발표됐다.


송대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