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대출 상환 독려 나선다

당국, 여력 있으면 빨리 갚게해 대출증가율 억제

일부 시중은행의 가계 대출중단이 고객들의 반발로 이어지자 금융당국이 신규 대출 대신 기존 대출을 상환하도록 하는 방안으로 방향을 바꿨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더 증폭되기 전에 가계 대출증가율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해서다. '가계대출 상환→상환자금의 서민ㆍ실수요 대출 확대→가계대출증가율 억제' 등의 선순환을 유도하겠다는 방침이지만 '지점장 전결'로 상징되는 우대금리 실종 등으로 실질 대출 금리가 올라가는 부작용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2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지난 19일 시중은행 부행장과 실무자들을 불러모아 가계대출 억제를 위한 구체적인 시행방안을 논의했다. 금융당국은 신규 가계대출의 중단보다는 기존 대출을 상환해 대출 증가율을 억제하고 상환을 통해 마련된 자금으로 서민이나 실수요 대출에 나설 것을 요청했다. 금융위의 한 고위관계자는 "저금리로 대출 부담을 크게 느끼지 않아 상환을 미루는 대출자도 상당할 것"이라며 "이들에게 연락해 가급적 상환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시중은행들도 이 같은 방침에 동참해 대출 상환의 유도를 위한 세부계획 마련에 나섰다. 먼저 검토 대상으로 삼고 있는 것은 대출 상환의 유도다. 자금 여력이 있거나 실수요가 아닌 주식투자 등의 목적으로 대출을 받은 고객 등이 대상이다. 시중은행들은 만기가 돌아오는 대출 고객에게 상환이 가능한지 물어본 후 자금여력이 있는 고객의 상환을 유도할 방침이다. 사용용도를 면밀히 따져 주식투자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만기연장을 까다롭게 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신한은행의 한 관계자는 "주택 등을 담보로 마이너스 통장을 만들어 놓고도 거의 쓰지 않는 사람이 적지 않다"며 "이러한 대출은 조기에 상환하도록 요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은행은 예금담보대출과 주식담보대출의 특별상계를 검토하고 있다. 예컨대 1년 만기 예금 2,000만원을 담보로 1,000만원을 빌린 고객에게 예금을 중도 해지해 대출 1,000만원 상환을 요구하고 대신 나머지 예금 1,000만원은 중도해지 이율이 아닌 1년치 이자를 모두 지급하는 방식이다. 고객 우대금리도 줄인다. 지난달 은행권 가계대출이 2조2,000억원이나 급증한 데는 일부 은행이 특판 금리 등을 통해 대출 경쟁을 부추겼던 게 작용했다고 보기 때문. 이에 시중은행들은 특판 금리, 지점장 전결금리 등을 동원해 일선 영업점들이 중구난방 식으로 대출을 늘리는 행태는 자제할 계획이다. 은행들은 현재 은행장 전결금리나 신용카드 이용, VIP고객, 월급 자동이체 등에 대한 우대 등을 통해 1~2%포인트나 대출 금리가 낮은 우대금리를 제시하고 있다. 하나은행의 한 관계자는 "앞으로 다른 은행 고객에게 낮은 대출금리를 제시해 자기 고객으로 만드는 대환대출이나 우대금리가 적용되는 신규 입주아파트 집단대출 등은 사라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