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포스트 QE 시대] 양적완화 6년 득과 실

4조달러 풀어 글로벌 경기 떠받쳤지만<br>美 여전히 저물가… 신흥국엔 자산거품

금융위기 이후 4조달러(약 4,200조원)를 시장에 투입해온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초유의 '실험'이 끝나면서 지난 6년간 지속된 양적완화 정책의 성과에 대한 논란이 본격적으로 불거질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발 금융위기에서 벗어나기 위한 연준의 유례없는 통화확대 정책은 지난 2009년 마이너스 성장으로 곤두박질쳤던 미국 경제를 단숨에 끌어올리고 글로벌 경기 전반을 떠받치는 역할을 해왔다.

양적완화의 경기부양 효과는 지난 수년간의 미국 경제지표를 보면 확연히 드러난다. 2008년 3·4분기 이후 침체의 늪에 빠졌던 미국 경제성장률은 금융위기가 터진 지 1년 만에 플러스로 진입했다. 미 성장률은 3차 양적완화가 시작되기 전까지만 해도 1%대에 그쳤지만 저금리의 풍부한 자금이 풀리면서 올 2·4분기에는 4.6%까지 회복되기도 했다. 세계 경제를 위기로 몰아넣은 지 6년 만인 지금 미국 경제는 세계 주요국 가운데 유일하게 호조를 보이고 있다.


연준이 출구전략의 주요 기준으로 삼았던 고용지표도 크게 개선됐다. 2009년 10월 10%까지 치솟았던 실업률은 현재 5.9%까지 하락했다. 경제활동 참가율이 경기침체 이전보다 오히려 낮아졌다는 점 때문에 양적완화의 고용개선 효과에 대한 논란이 제기되기도 하지만 4조달러의 자금이 미국 경기를 되살렸다는 데는 이견이 없다.

관련기사



세계 경제성장률이 리먼사태 직후인 2009년 소폭의 마이너스 성장에서 2010년 곧바로 회복된 데도 연준발 '돈 살포'의 위력을 무시할 수 없다.

하지만 양적완화를 통해 소비자물가를 2%까지 끌어올린다는 당초 목표는 실현되지 못하는 등 양적완화 효과가 부진한 영역도 있다. 올해 9월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1.7% 올랐지만 여전히 목표치를 밑도는 수준이다.

또한 천문학적으로 풀린 자금이 주식과 채권 등 자산가격을 끌어올리면서 빈부격차를 심화시키고 고금리를 쫓아 움직이는 막대한 자금 때문에 세계 증시와 신흥국 자산시장에 거품을 일으키는 등 적잖은 부작용을 낳았다는 지적도 있다. 일각에서는 연준의 양적완화로 일부 부유층은 자산을 크게 불렸지만 일반 국민들은 충분한 혜택을 누리지 못했다며 양적완화가 초래한 소득불균형 심화가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의 지지율을 끌어내리는 데 일조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또한 풀린 자금이 실물경제의 수요를 늘리는 것보다는 자산 거품을 초래함으로써 추후 미국이 기준금리를 올리기 시작하면 거품 붕괴와 함께 금융시장이 큰 혼란에 빠지는 위기를 초래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미 뉴욕증시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2009년 말과 비교해 100% 가량 오른 상태다.


신경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