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올 실질임금 상승률 1%대 그칠듯

물가상승률 4% 웃돌 전망

올해 높은 물가 상승에 따라 산업현장 근로자들의 실질임금 상승률이 1% 초반에 그칠 것으로 전망됐다. 7년 만에 산업현장 협약임금 상승률이 5%를 넘지만 그에 못지 않게 소비자 물가 상승률도 4%를 웃돌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11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 11월 말까지 협약임금 인상률은 5.2%로 집계됐다. 협약임금 인상률은 임금교섭이 타결된 사업장에서 노사가 사전에 합의한 임금의 인상률로 초과급여나 특별상여금을 제외한 정액급여와 고정상여금 등이 포함된다. 올해 임금인상률은 지난해의 4.8%에 비해 0.4%포인트 높은 것으로 11월 현재 임금교섭 타결률이 81%에 달해 12월 결과가 반영되더라도 연간 임금인상률은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5%대 협약임금 인상률은 2004년 5.2% 이후 7년 만이다. 그러나 물가가 급등하면서 실제 노동자가 체감할 수 있는 임금 인상률은 미미할 것으로 전망된다. 올 들어 11월까지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동기 대비 4% 뛰었다. 연간 임금 인상률(5% 내외)에서 물가 상승분(4% 내외)을 제외하면 실질임금은 1% 남짓 상승하는 데 그쳐 사실상 제자리걸음을 하기 때문이다. 실질임금 상승률이 둔화한 것은 2008년 금융위기부터다. 실질임금 상승률은 2002년 3.9%에서 2003년 2.9%, 2004년 1.6%, 2005년 1.9%, 2006년 2.6%, 2007년 2.3% 등으로 평균 2% 중반대를 기록했다. 2008년에는 4.9% 인상됐지만 경제위기로 물가가 4.7% 급등하면서 실질임금 상승률이 0.2%로 급락했으며 2009년은 마이너스를 기록하기도 했다. 지난해에도 물가가 3% 상승하면서 실질임금 상승률은 1.8%에 불과했으며 올해는 1% 초반에 머물 것으로 추정된다. 고용부가 집계하는 협약임금 인상률은 상시 근로자 100인 이상 사업장을 대상으로 한다. 통상 100인 이하 중소기업이나 영세사업장들은 대규모 사업장보다 임금 인상률이 떨어진다는 점을 감안하면 중소 사업장에서 근무하는 노동자들은 전년에 비해 올해 살림살이가 훨씬 더 팍팍했던 것으로 분석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