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박근혜 1기 내각, 리더십이 없다

전문가·관료 중심 장관 인선<br>부처 적응·장악 어려움 예상

전문가와 관료 중심인 박근혜 정부의 첫 인선에 리더십이 없다는 쓴소리가 나오고 있다. 교수와 연구원 출신은 조직을 운영해본 경험이 적고 상명하복에 익숙한 관료 출신은 대통령의 눈치를 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갈등을 조정해야 할 장관과 수석비서관 자리에 실무형이 오게 되면서 생긴 한계라는 지적이다. 특히 고용복지ㆍ창조경제 등 여러 부처의 통합작업이 많아질 새 정부의 조정축은 결국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 한 명일 것이라는 예측도 나온다.

박근혜 정부의 국무총리 및 각 부처 장관과 청와대 수석비서관 30명을 보면 고시 출신 관료가 16명이고 교수와 연구원은 각각 7명이다.

관료의 경우 과거 행보를 보면 소신형보다는 안정형이 많다는 게 관료사회의 평가다. 청와대 경제수석이나 경제부총리 모두 이에 속한다. 기획재정부의 한 인사는 22일 "경제부총리는 여러 부처의 각기 다른 주장을 조정해야 하는데 부처를 떠난 지 오래됐고 뚜렷한 색깔이 없는 현재 내정자가 그 역할을 할 수 있을지 걱정된다"고 말했다.


조직의 위계질서를 중시하는 관료사회에서 부처를 떠난 지 한참 후에 돌아온 장관은 적응이 쉽지 않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기획재정부나 외교부 등이 이에 해당한다.

관련기사



부처 사정에 밝은 여권의 한 인사는 "해당 부처에 있을 때 국장이었는데 갑자기 장관이 돼서 놀랐다는 관료들이 많다"면서 "장관은 직접 일을 하는 게 아니라 인사ㆍ조직ㆍ예산을 통해 노회한 1급 관료에게 일을 시켜야 하는데 조직을 오래 전에 떠난 장관이 관료들을 움직이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교수와 연구원은 이론에 강하지만 현실감각이 떨어질 수 있다는 게 문제다. 국토부ㆍ고용노동부ㆍ해양수산부 등이 그렇다. 특히 이들 가운데는 박 당선인이 이론적 능력을 눈여겨보고 발탁한 경우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고위관료였다가 민간기업 임원을 지낸 한 인사는 이날 "장관은 이론이 아니라 실행을 하는 사람"이라면서 "교수나 연구원 출신은 이론과 아이디어는 많아도 큰 조직을 이끌어가면서 문제가 발생했을 때 이해관계를 풀어내본 적은 적다"고 지적했다.

이 인사는 "관료 출신인 나도 민간기업에서 협상을 해보니 배우는 게 많았는데 관료나 연구자 출신 장관 내정자도 그런 경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취임 전부터 부처와 갈등을 빚고 있는 내정자도 있다. 김병관 국방부 장관 내정자는 무기 중개 거래 개입, 부하 비리 묵살, 공금유용 의혹 등으로 군 내부에서조차 "의혹 사실 여부와 상관없이 영(令)이 서지 않을 것"이라는 비토 여론이 흘러나온다.


임세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