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시티폰 사업 중도하차 위기/가입자 70만명 불과·PCS공세 거세

◎서울·나래이통 영업 부진에 ‘허덕’/전망 불투명 양사 사업권 반납의사「시티폰은 과연 사업성이 있는가」 최근 서울이동통신, 나래이동통신 등 수도권 시티폰 사업자들이 사업권을 포기할 의사를 비침에 따라 시티폰의 사업성에 대한 논의가 다시 일고 있다. 「주머니 속의 공중전화」란 캐치프레이즈와 함께 받기만 하는 삐삐의 단점을 보완하며 소비자들로부터 각광을 받을 것으로 예상됐던 시티폰 사업이 서비스 개시 1년도 못돼 중도 하차의 위기에 몰린 것이다. 이 문제는 해당 사업자의 손실은 물론 사업을 허가해준 정보통신부의 정책실패로 여겨질 수도 있어 경우에 따라 큰 파문이 일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3월 서비스를 개시한 시티폰은 현재 가입자가 70만명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당초 예상대로라면 지금쯤 1백만명은 넘었어야 한다. 게다가 1인당 사용량도 월평균 1만2천원으로 업체들이 예상했던 월 1만8천원에 비해 크게 부족하다. 그나마 가입자의 40% 가량은 돈을 내지 않는 불량 가입자여서 서울이통과 나래이통은 현재 각각 약 18억원의 요금을 받지 못하고 있다. 약 4천억원을 시설투자비로 쏟아붓고도 예상밖에 영업부진에 허덕이고 있는 것이다. 시티폰 사업이 이처럼 부진한 가장 큰 이유는 PCS(개인이동통신)와 이동전화 업체들의 가격인하 때문이다. 시티폰에 비해 품질이 월등히 높은 이들이 가격을 인하하고 보증금마저 보증보험으로 전환, 가입문턱이 크게 낮아지면서 시티폰에 가입하려던 소비자들이 발길을 돌린 것이다. 문제는 시티폰 사업자들이 이같은 어려움을 타개할 수 있는 마땅한 방안이 없다는 것이다. 적자를 줄이기 위해 현행 10초당 8원인 요금을 인상하면 그만큼 가입자가 줄어들고 낮추면 수입이 줄어든다. 주택가나 뒷골목에서는 통화가 잘 안되는 품질을 개선하려 해도 추가 기지국 설치에 드는 비용이 만만치 않다. 사업전망이 밝다면 무리해서라도 투자하겠지만 전망이 어두운 상황에서 추가 투자가 망설여지는 것이다. 서울이통, 나래이통 등이 시설을 한국통신에 넘기고 영업만 하겠다고 나서는 것은 이같이 사면초가에 몰린 상황 때문이다. 정통부도 이같은 업체들의 어려움을 알고 있지만 해결책이 없기는 마찬가지다. 전파사용료, 기지국의 도로 점용료라도 줄여주고 싶지만 다른 사업자와의 형평성 때문에 선뜻 나서기가 쉽지 않다. 더구나 정통부는 업체들이 사실 사업권을 반납하려는 것이 아니라 전파사용료를 줄이고, 한국통신에 내는 기지국 사용를 낮춰보려는 취지의 「엄살」이라고 보고 있어 시각차이도 크다. 정보통신 업계에 진입·퇴출을 자유롭게 하자는 것이 정보통신부의 정책 방향임을 고려하면 사업권 반납도 업체들의 자유다. 그러나 PCS의 등장 등 변화될 통신환경을 사전에 알고서 사업에 참여한 시티폰 업체들이 당장의 어려움만으로 사업권을 반납한다는 것은 옳지 않다는 것이 업계의 공통된 지적이다. 오히려 시티폰 사업자들은 경쟁환경에 직면해 가입자 유치를 위해 얼마나 노력했는지, 또 만족할만한 통화품질을 갖추지 못한 상황에서 서둘러 서비스에 나서는 우를 범하지는 않았는지 지금이라도 냉정히 자문해 봐야 한다는 것이다.<백재현 기자>

관련기사



백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