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미 연준 테이퍼링 착수] 고금리로 패러다임 전환 신호

현오석 부총리 "시장 불안 조짐땐 비상계획 따라 대응"<br>한은, 시장 모니터링 강화… 적극적인 통화정책 시사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의 양적완화(QE) 축소와 관련, 현오석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시장의) 패러다임이 바뀌는 신호"라며 글로벌시장이 저금리에서 고금리 기조로, 신흥국에서 선진국으로 자본흐름이 바뀌고 있다 고 말했다.

현 부총리는 1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대외경제장관회의에서 "단기적으로 자본 유출입 압력 등 금융·외환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현 부총리는 그러나 "양적완화 축소가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며 자신감을 내비쳤다. 그는 "외국인 자금은 분명히 신흥국에서 선진국으로 움직이지 않을까 예상하지만 일방적이지는 않을 것"이라며 "한국은 차별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우리 경제의 양호한 기초체력과 재정건전성, 외환보유액 등을 감안하면 외국인 자금이 급격하게 유출되지는 않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관련기사



그러면서 "시장 불안 조짐이 발생하면 컨틴전시플랜에 따라 신속히 대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내년 경제 운용에 대해서는 "선진국 경제의 탈동조화(디커플링) 현상과 신흥국의 성장 둔화가 내년 경제에 위험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며 "내년도 경제정책 방향도 이를 감안, 작성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는 양적완화 축소에 따른 시장불안을 잠재우기 위해 행동에 나설 수 있다는 뜻을 시사했다.

김 총재는 이날 한은에서 열린 대외포상 시상식 치사에서 "대외 여건 변동성에 대비해 금융·외환시장의 안정을 위한 노력을 계속해나갈 것"이라며 '시장과의 커뮤니케이션 및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필요시 적극적인 통화정책을 통해 시장 안정을 도모할 것"이라고 말했다.

급격한 외국 자본 유출시 시장 개입을 불사하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김능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