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견기업과 중소기업이 같이 살아갈 수 있는 생태계를 만들어야 합니다. 보호만 받겠다는 중소기업은 빼고, 건전하게 열심히 일하는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대기업과 중견기업이 지원을 해줘야 합니다. "
26일 서울 종로구 삼표산업 본사에서 만난 최병길(61·사진) 중견기업연합회 판로개선위원회 위원장(삼표 사장)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함께 살 수 있는 생태계를 만드는 게 급선무라고 강조했다. 구체적으로 그는 "기술연구소가 있는 중견기업은 투자 여력과 인력이 없는 중소기업에 기술·물류시스템·회계·IT를 지원할 수 있고, 대기업 퇴직자들을 인재풀로 해서 중소기업에서 일하게 하면 그들의 노하우를 중소기업이 활용할 수 있다"고 역설했다. 이어 "이렇게 하면 돈도 사람도 없고 아이디어만 있는 중소기업에 큰 도움이 되고, 퇴직자들도 많은 돈을 받지 않고도 열심히 일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다른 상생의 방법으로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쉐어링도 들었다. 최 위원장은 "대기업이 중소기업에 구매단가 후려치기를 하는데, 대기업이 중소기업에 자본과 자금을 투자하게 해주면 억지로 쥐어짜는 일은 없어질 것"이라며 "이분법적인 틀에서 무조건 대기업의 참여를 차단하지 말고, 자본·자금·기술·경영분야를 지원해야 같이 성장할 수 있다"고 힘주어 말했다.
대·중소기업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중소기업 적합업종에 대해서는 근본적이고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설파했다. 그는 "대기업·중소기업·중견기업이 같이 시장을 키우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동반성장위원회도 싸움을 붙이고 합의하라고만 하지 말고 보호할 것, 육성할 것 등을 따져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지금 적합업종은 공급자들 얘기만 듣고 있는데, 수요자인 고객의 얘기도 들을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중견기업계를 대표해 아쉬운 소리도 했다. 그는 "중견기업의 참여에 아무 제한을 두지 않는 것도 곤란하지만, 중견기업이라고 해서 무조건 참여를 배제하는 것도 맞지 않다"며 "레미콘의 경우 시장지배적 지위를 누리고 있는 중소기업은 정작 특수콘크리트 분야 등에서 기술개발도 제대로 못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최 위원장은 공공시장에도 중견기업이 참여할 수 있게 해달라고 당부했다. 그는 "예를 들어 20억∼30억짜리는 중소기업이 가져가도 좋지만, 200억∼300억짜리는 중견기업도 참여를 하게 해줘야 한다"며 "소규모는 중소기업들이 경쟁하고, 중규모는 중견기업도 들어갈 수 있게 해줘야 품질도 개선되고 기술개발도 이뤄진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