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美, 지난달 고용지표 개선… 일자리 늘고 실업률 하락

경기침체 우려 다소 완화될 듯


미국의 지난 7월 고용지표가 시장의 예상치보다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세계경제 장기침체에 대한 우려가 다소 완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노동부는 7월 비농업 부문 고용자가 11만7,000명 증가했다고 5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이는 블룸버그통신이 예상한 8만5,000명 증가보다 훨씬 큰 수치다. 민간 부문 고용자는 15만4,000명 늘었으며 이에 따라 7월 실업률 역시 전달보다 0.1%포인트 하락한 9.1%를 기록했다. 노동부는 또 미국경제를 패닉에 빠뜨린 요인 중 하나였던 6월 비농업 부문 고용자 증가를 1만8,000명에서 4만6,000명으로 상향 수정했다. 고용지표를 항목별로 살펴보면 7월 서비스 부문 고용자가 7만5,000명 늘어나 신규 고용자 증가를 이끌었다. 자동차산업 호조에 따라 공업 부문 노동자 역시 2만4,000명 늘었으며 건설 부문 고용자도 8,000명 증가해 2월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반면 정부 고용자는 3만7,000명 감소해 9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미국의 고용지표가 예상보다 개선된 것으로 나타나 경기침체를 우려한 주식 투자자들의 '팔자' 공세는 일단 '숨 고르기'를 할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낙관은 아직 이르다는 지적도 나온다. 7월 실업률이 감소한 것은 일부 실업자들이 구직활동을 아예 포기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고 AP통신은 전했다. 구직활동을 포기한 실업자는 실업률 통계에서 제외돼 실업률을 낮추는 효과를 낸다. 블룸버그 역시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여전히 낮고 소비심리도 개선되지 않아 전망이 어둡다"고 지적했다. 미국 경제전문가들은 실업률이 꾸준히 낮아지려면 매달 20만명가량의 신규 고용이 일어나야 할 것으로 보고 있다. 벤 버냉키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이 지난달 "노동시장은 여전히 취약하며 경기가 회복되기까지 많은 불확실성이 존재한다"고 지적한 것도 이런 맥락으로 해석된다. 유럽 재정위기 등 불확실한 경제여건 속에 미국 주요 대기업이 고용절감을 위한 대규모 구조조정을 준비하고 있는 것도 부담이다. 미국 최대 네트워크 통신업체인 시스코의 경우 최근 6,500명을 해고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