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화 「팀제실시 1년」 결산/도입은 필연·문제도 산적

◎조직유연성·시너지효과 극대화 장점/과장 사기저하·팀원 업무량 분배 애로/팀장 권한강화·정보공유가 성공 관건국내기업들이 경쟁적으로 도입하고 있는 팀제는 최선인가. 의사결정의 신속화, 정보공유를 통한 시너지 효과의 극대화와 같은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전통적 중간리더인 과장들의 사기가 저하되고 팀원간 직급차이가 심한 경우 효율이 떨어지는 등 문제점도 적잖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화그룹이 최근 「팀제」를 주제로 한 사내 토론회에서 내린 결론이다. 한화는 팀장과 팀원들을 초청한 가운데 팀제 실시 1년을 결산했다. 팀제는 회사가 성장과정에서 실시해야할 필연적인 조직형태라는데는 참석한 팀장들 모두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부·과제도가 직위중심이라면 팀제는 사람과 일중심으로 1년간의 실시결과 팀장의 권한이 강화되고 조직의 유연성이 눈에 띄게 좋아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특히 신규개발이나 연구개발 조직 등 업무환경의 변화가 심한 부서에서는 팀제가 적합한 것으로 평가됐다. 팀제가 잘 시행되고 있는 부서는 팀장의 권한과 책임이 분명하고 팀원들이 정보를 공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화는 이와관련, 『팀제가 제대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팀장의 권한 강화와 정보의 공유가 가장 중요한 요소로 꼽혔다』고 결론지었다. 또 팀장의 리더십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중간리더가 필요하며 중간리더는 팀내 고참사원 가운데 팀장이 임명하는 방안이 가장 효율적이라는 지적도 나왔다. 그러나 팀제는 이같은 장점보다 보완할 부분이 더 많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팀제로 이행되면서 과장들의 권한이 감소, 사기가 저하되고 있다는 것. 과장들은 팀장 바로 아래 직급으로 과거 부·과조직에서는 업무량이나 조직상의 비중이 컸지만 팀제로 바뀌면서 대리·사원들과 권한상에서는 같은 위치로 전락했다. 또 팀원 개개인의 직급과 역량이 팀분위기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가령 과장 2명, 대리 1명, 사원 3명 등으로 직급차이가 심한 경우에는 팀제 운영의 효율이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리·과장의 경우에는 사원들과 같은 팀원이면서도 업무량은 많아지고 사원들은 같은 팀원이면서도 업무와 관련해 윗사람과 상의할 수밖에 없다는 것. 이로인해 팀원간 업무량에 차이가 많아 문제점을 야기시키며 팀장도 업무배문에 애로가 따른다. 팀제 도입후 부서장의 이동이나 신입사원수의 갑작스런 증가도 팀제 정착을 가로막는 장애요소로 등장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회사의 잦은 인사이동 특히 연공서열에 의한 이동이 잦을 경우 팀장이 업무나 사람에 대해 충분히 파악할 수 없게 된다. 영업부서의 경우 신제품으로 새로운 시장에 정착시킬 때는 팀제가 효과적이지만 성숙기에 있는 제품 영업부서의 경우는 기존의 부·과제가 적합하다. 영업부서의 경우 팀제 정착을 위해서는 팀당 거래처수를 적절하게 배분해야 하며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팀장을 보좌할 수 있는 중간리더들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민병호 기자>

관련기사



민병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